[교육감선거 D-1] 전국 17개 교육청 예산 60조... 37만 교사 인사권까지 '막강 권한'역대 최악의 '깜깜이 선거'... "640만 학생들 위해 후보 이름·공약 꼼꼼히 살펴야"
  • ▲ 6·13 지방선거 사전투표일이었던 8일 서울역에서 한 시민이 투표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6·13 지방선거 사전투표일이었던 8일 서울역에서 한 시민이 투표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17개 시·도 교육감을 선출하는 6·13 지방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재선에 성공하거나 새롭게 선출되는 전국 17명의 교육감들은 앞으로 4년간 대한민국 교육을 이끌게 된다.

    그러나 이번 교육감 선거는 다수 유권자들의 무관심 속에서 역대 최악의 '깜깜이' '묻지마' 선거가 될 것이란 우려를 낳는다. 지난 6일 발표된 KBS·MBC·SBS 3사 교육감 후보 지지도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국 17곳 중 12곳에서 과반 이상의 유권자가 '후보를 모른다' 또는 '선택한 후보가 없다'는 답변을 했다.

    '깜깜이' 비율이 37.3%로 가장 낮았던 전북의 경우도, '후보를 모른다'는 응답이 지지도 1위를 차지한 김승환 후보 지지율(29.9%·현 전북교육감)보다 높았다. '모른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던 인천(64.5%)의 경우, 1위 도성훈 후보 지지율(15.9%·전 전교조 인천지부장)을 무려 48.6%나 웃돈다.

    상당수의 유권자들이 교육감 선거에는 정당 공천이나 기호가 없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후보가 누군지도 모른다. 

    교육감은 '교육 소통령'이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한을 지니고 있다. 17명의 전국 교육감이 주무르는 예산만 1년에 60조원 수준이며, 전국 교사 37만명에 대한 인사권도 행사한다.

    이들은 등교시간 조정부터 교육기관 설치 및 폐지 등 실질적 교육운영을 전담하며 전국 유초중고교 원아·학생 640만명의 인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당장 논란이 되고 있는 교육현안 중 자사고·외고 존폐 문제, 혁신학교 확대, 축소, 폐지 문제만 놓고 보더라도, 교육감 선거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다.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따라 대한민국 교육방향의 큰 틀이 바뀐다. 

    예컨대 서울의 조희연 후보는 자사고·외고를 '특권학교'로 규정하고 일반고로 전환해 사실상 자사고를 폐지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박선영 후보는 자사고·외고 등을 현행대로 유지해 학부모, 학생들에게 학교선택권을 완전 보장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선거까지 남은 기간 하루. 자라나는 대한민국 아이들과 교육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이제라도 각 지역 교육감 후보들의 이름과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오로지 교육만을 위해 전력을 다할 가장 적합한 후보자에게 투표권을 행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