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3자 정상회담 무산으로 결론…우리 운명을 미국과 북한의 손에 맡긴다는 비판도
  • ▲ 문재인 대통령이 제2차 남북정상회담 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제2차 남북정상회담 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청와대가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미북정상회담 결과의 후속 대응 방안 검토에 돌입하는 모습이다. 또한 애초 추진했던 싱가포르에서의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 고민이 깊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오전 기자들로부터 관련 질문을 받고는 "남북미 (3자) 회담 일정은 미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날 오후 열리는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미북정상회담 준비상황 보고 및 대응방안에 대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고가 있을 예정"이라며 "미북정상회담 결과가 나오면 이후 할 일이 있지 않겠느냐"고 언급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대답은 12일 미북 간 정상회담 결과에 따른 후속 회담의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자칫 '두번째 패싱'을 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애초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미북 정상회담 직후 남북미 3자회담 등을 통해 종전선언까지 논의하려 했으나 뜻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한국 패싱' 논란이 일었다.

    앞서 〈조선일보〉 등은 7월 27일 판문점에서 3자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도했지만, 아직은 후속 미북정상회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에 "북한 김정은은 위대한 국민과 함께 나라를 진정으로 위대하게 만들 수 있다. 그것은 단 한 번의 기회"라며 "내 시간도, 그의 시간도 낭비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첫 회담이 결렬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실제 청와대는 11일 수석보좌관회의 등 정례 회의를 제외하고는 일정을 비운 채 싱가포르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반도의 운명을 미국과 북한의 손에 맡기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미북 양측이 직접 마주 앉게 되면서 중재자 역할을 자임해 온 청와대가 개입할 여지가 크게 줄어들게 됐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장제원 수석대변인이 지난달 25일 "북한을 '성과'에 급급한 조급함과 아마추어적인 어설픈 중재 외교로 다룰 수는 없다"며 "북한을 상대하는 유일한 방법은 근거 없는 '낙관론'과 '장밋빛 환상'이 아니라 상호주의에 입각한 확고한 원칙"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