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AP, 러 RT, 中신화통신 등 “북한 행동 있기 전에 미리 논의하지는 않을 것”
  • ▲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시에는 주한미군 철수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2017년 10월 판문점과 비무장 지대를 찾았을 때 모습. ⓒ美국방부 뉴스화면 캡쳐.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이튿날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주한미군 철수’에 관한 언급을 했다. 한반도 평화협정을 논의할 때 북한이 요구한다면 의제로 삼아 한국·북한과 논의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美AP통신, 러시아 스푸트니크 뉴스 등은 지난 28일(현지시간) 제임스 매티스 美국방장관의 ‘주한미군 철수’ 발언을 보도했다.

    러시아 스푸트니크 뉴스는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마리우즈 브라스쟉 폴란드 국방장관과 회담을 가지면서 ‘한반도 평화협정’을 논의함에 있어 북한이 요구한다면 주한미군 철수도 의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스푸트니크 뉴스에 따르면,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을 철수할 것이냐”는 질문에 매티스 美국방장관은 “그 문제가 협상 의제 가운데 일부분이 될 수도 있는데 일단 우리 동맹국과 먼저 논의하고, 당연히 북한과도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美군사전문매체 밀리터리 닷컴은 “매티스 美국방장관이 현재 한국에 주둔 중인 미군 2만 8,000여 명의 미래가 앞으로 어떻게 될 지 예측할 수 없다고 밝혔다”며 그의 말을 전했다.

    매티스 美국방장관은 “내 생각에는 우리가 지금 당장 주한미군 철수에 대한 과정을 협의하거나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이행하기도 전에) 미리 전제 조건으로 내놓거나 추측만으로 이 주제를 해결해 나갈 일은 아니라고 본다”면서 “외교관들이 지금 그들이 맡은 일을 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기 전에 북한의 비핵화 실행이 먼저이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가 되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매티스 美국방장관은 “나는 수정구슬이 없다(예언을 할 수는 없다)”면서 “그러나 1950년 한국 전쟁이 시작된 이래 지금처럼 낙관적인 상황을 즐길 기회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매티스 美국방장관은 미국과 한국이 북한과 서로 신뢰를 쌓아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앞으로 일이 어떻게 진행될지 한 번 지켜보자고 덧붙였다고 한다.

    매티스 美국방장관의 발언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주일미군은 주한미군의 지원세력임과 동시에 일본이 ‘평화헌법’ 체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근간이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 언론과 전문가들의 예측처럼 7월 27일 ‘종전 선언’이 발표되고, 연내부터 한반도 평화협정 논의가 시작된다면 한미 간의 전작권 전환 논의 또한 속도가 붙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