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서훈 등 주요 인사 벌써부터 거명… 김홍걸, 김정은·김여정과 구면에 정치적 부담 덜하다는 장점 부각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초청해 접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초청해 접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북한 김정은이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을 초청하면서, 문 대통령 또한 답례 차원으로 대북특사를 보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뢰하는 인사이면서 동시에 북한과의 관계도 깊은 인물이 적절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서훈 국정원장·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등이 거론된다.

    북한 김여정은 10일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오찬하면서 자신이 김정은의 특사임을 밝히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을 초청했다. 이에 정치권 안팎에서는 대북 특사설이 제기됐다.

    김정은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카드인 김여정을 보내 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였고, 문 대통령 또한 그간 "필요하면 보낼 수 있다"며 대북 특사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왔기 때문이다. 답례 형식으로 보내는 만큼 정치적 부담이 덜하다는 점도 대북 특사 설에 무게를 싣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하마평이 제기되고 있다. 북측의 대화 시도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으면서도 북측이 인정할만한 인사여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청와대 내 인사로 먼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 꼽힌다. 임종석 비서실장은 지난해 12월 이미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아랍에미리트연합(UAE)를 방문한 적이 있다.

    서훈 국정원장은 '대북 전문가'로서 경험이 강점으로 꼽힌다. 지난 2000년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실무를 주도했다. 1996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대표를 역임할 당시 경수로 건설을 위해 북한에 2년간 상주한 적이 있고, 개성공단 협상도 주도해 대북 협상가로는 최고의 전문성을 갖췄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지난 10일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서훈 국정원장을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함께 소개하면서 "남북관계 발전의 의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정의용 안보실장의 이름도 거론된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지난 2005년 대통령 특사로 파견된 인물은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정동영 의원이다. 지난 2002년과 2003년에는 임동원 당시 외교안보통일특보가 파견됐다. 이낙연 국무총리 역시 후보군이다.

    여기에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의 이름도 나온다. 먼저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이라는 상징성이 있고, 지난 2011년 12월 김정일 위원장 사망 당시 이희호 여사,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과함께 조문단으로 방북했다. 당시 정치권 인사 중 거의 유일하게 김정은 위원장을 직접 만났다. 11일 이낙연 총리 주재 오찬에도 참석해 김여정 제 1부부장과도 구면이다.

    북한 역시 6·15 선언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북측 대표단이 평양에서 인천공항까지 이용한 북한 전용기의 편명은 'PRK-615'로, 이에 정치권에서는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사이에 이뤄졌던 6·15 공동선언을 뜻한다는 해석이 나왔다. 북한에서 김정은 동생 김여정이 온만큼, 김대중 전 대통령의 혈육이 가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또 미국, 일본 등 주변국 눈치를 봐야하는 우리 입장을 감안할 때 정부 관료보다 사실상 민간인인 김홍걸 카드가 덜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밖에도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등도 거론된다. 반 전 사무총장은 미국과 보수진영에서도 인정할만한 국제적 명성과 정치 중량감이 있는 인사이고, 박 의원은 2000년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6·15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다. 임동원·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도 남북교류에 전뼈가 굵다는 평가다.

    만일 대북특사를 파견한다면 그 시점은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는 2월 말이나 3월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많다. 4월로 잠정 연기된 한미군사훈련이 시작되기 전 북측과 대화의 장을 열어야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시작한 남북 화해모드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