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北SLBM 시험발사 위한 바지선 건조 마무리 단계”
  • 美'38노스'가 공개한, 대동강 인근 남포 해군조선소 사진. 중앙이 미사일 발사대와 관련시설로 보이는 건조물이다. ⓒ美38노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 美'38노스'가 공개한, 대동강 인근 남포 해군조선소 사진. 중앙이 미사일 발사대와 관련시설로 보이는 건조물이다. ⓒ美38노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지난 1일 국내 언론들은 美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공개한 北서해 지역 남포항 일대의 위성사진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美‘38노스’는 “상업용 위성이 지난 11월 11일, 16일, 24일 대동강 인근 남포 조선소 일대를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 시험을 위한 수중용 바지선 건조를 거의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美‘38노스’는 “지난 9월에 찍은 위성사진과 11월 11일에 찍은 사진을 비교해보면, 선박 건조용 크레인의 위치가 126m 길이의 부유식 도크 끝으로 이동했고, 11월 24일 사진을 보면 천막으로 가려져 있는데 바지선에 필요한 펌프, 전장 장치 등 의장 공사를 하는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美‘38노스’는 이 같은 움직임으로 볼 때 SLBM 시험 발사용 신형 바지선의 건조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이며, ‘북극성 3형’과 같은 신형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美‘38노스’는 또한 “북한 정권이 SLBM 개발에 강한 의지를 가진 것 같다”면서 “북한이 서해 함대에 SLBM을 배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美‘38노스’의 분석과 관련해 일부 한국 언론들은 북한이 신형 SLBM 개발과 함께 이를 탑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 건조와 개발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다른 가능성도 생각해봐야 한다. SLBM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 개발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북한처럼 잠수함에 탑재할 수 있는 원자로를 자체 제작할 수 없는 곳에서는 SLBM 탑재 잠수함을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렵다.

  • 컨테이너를 탄도미사일 캐니스터로 개조해 사용하는 것은 이미 검증이 됐다. 사진은 지난 6월 이스라엘이 '장사정 화력미사일(LORA)' 발사 시험을 한 장면. ⓒ호주 뉴스닷컴 관련보도 화면캡쳐.
    ▲ 컨테이너를 탄도미사일 캐니스터로 개조해 사용하는 것은 이미 검증이 됐다. 사진은 지난 6월 이스라엘이 '장사정 화력미사일(LORA)' 발사 시험을 한 장면. ⓒ호주 뉴스닷컴 관련보도 화면캡쳐.


    그렇다면 다른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로 ‘컨테이너 탑재 탄도미사일’의 개발이다. 북한이 상용 컨테이너를 미사일 캐니스터 겸 수직 발사대로 개조해 사용할 것이라는 지적은 2007년 초에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당시 美의회조사국(CRS)은 “북한이 사거리 2,500km 이상의 SLBM을 개발했고, 이를 일반 컨테이너 화물선에서 발사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고 보고서에 밝혔다. 관련 내용은 곧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도 실려 많은 관심을 끌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표준 컨테이너의 길이는 20피트, 40피트, 45피트다. 폭은 2.348m, 높이는 2.376m로 동일하다. 이 가운데 40피트와 45피트 컨테이너는 길이가 각각 12.031m와 13.555m다.

    북한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SLBM ‘북극성 1형’의 길이는 9m 안팎, 직경은 1.5m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이 수백여 발을 보유하고 있다는 ‘스커드 C’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길이 11.25m, 직경 0.88m, ‘화성-6호’로 알려진 개량형 스커드 탄도미사일은 길이 12m, 직경 0.88m다. 모두 45피트 컨테이너에 수납할 수 있다.

  • 美'38노스'가 공개한 남포항 사진. 왼쪽 드라이 도크 옆으로 화물선처럼 보이는 선박 2척이 정박해 있다. 이곳은 北해군 조선소다. ⓒ美38노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 美'38노스'가 공개한 남포항 사진. 왼쪽 드라이 도크 옆으로 화물선처럼 보이는 선박 2척이 정박해 있다. 이곳은 北해군 조선소다. ⓒ美38노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북한이 캐니스터 안에서 발사하는 ‘핫 런치’ 방식 대신 ‘콜드 런치’ 방식을 고집하는 점, ‘북극성-1형’을 비롯해 중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외형을 적극적으로 개조하지 않는 점, SLBM 발사 시험에 잠수함이 아니라 계속 수중 바지선을 활용하는 점 등은 혹시 김정은 정권이 한반도 유사시에 ‘민간 상선’으로 위장한 ‘컨테이너 미사일 운반선’으로 한국과 일본, 미국을 노리려는 속셈은 아닐까.

    美‘38노스’가 공개한 北남포항 해군 조선소 일대의 위성사진에는 SLBM 시험용 천막과 드라이도크, 새로 건조 중인 미사일 발사 호위함 외에 마치 컨테이너 화물선처럼 보이는 선박 2척이 보인다. 혹시 이것이 북한이 탄도미사일용 플랫폼으로 시험하려는 화물선은 아닐까.

    북한이 해양법이나 항공법 등 국제적 규범을 무시한다는 점을 떠올려 보면, 10년 전에 美CRS가 지적했던 방식을 김정은이 쓰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어 보인다. 美정부가 주장하는 ‘해상봉쇄’가 필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