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북방정책' 통해 극동지역 국가에 협력 손짓… 일각서는 '빈손외교' 우려도
  • ▲ 문재인 대통령이 6일부터 7일까지 러시아를 방문한다. 사진은 지난 4일 파트루쉐프 러시아연방안보회의 서기를 접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6일부터 7일까지 러시아를 방문한다. 사진은 지난 4일 파트루쉐프 러시아연방안보회의 서기를 접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위해 6일 블라디보스톡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문제 해결의 주춧돌을 쌓겠다는 의도이지만, 일각서는 '빈손외교' 우려도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1박 2일 일정으로 러시아를 방문해 러시아·일본·몽골 정상과 정상회담을 한 뒤 오는 7일 귀국할 예정이다. 러시아에 도착해서는 동북아를 포함한 극동지역 개발을 위한 국제회의인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 기조연설을 통해 신북방정책을 천명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북한에 영향력이 큰 주요강국 중 하나인 러시아를 움직여 북핵 협력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유라시아 국가와의 경제 협력을 통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나오게 하겠다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구상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남·북·러 간 3각 협력, 나아가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도 추진한다.

    청와대는 이번 한러정상회담을 위해 많은 공을 들여왔다. 중국과 일본 보다 먼저 방문한 것 부터 의미심장하다. 지난 4일에는 파트루쉐프 러시아연방안보회의 서기를 접견했고, 특히 지난 5일에는 정무적 감각이라는 이유를 앞세워 러시아에 밝은 우윤근 국회 사무총장을 주러시아 대사로 임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정상외교는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한·러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시점에도 북한 측의 입장을 대변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타협책을 찾기를 희망한다"면서도 "북한은 체제의 안전을 느끼지 않는 한 핵포기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체제 보장을 조건으로 미국과 양자회담을 요구하는 북한 측의 주장과 흡사한 발언이다.

    실제로 러시아의 전신인 옛 소련은 남한에 적(敵)이었다. 1950년 6월 25일 김일성이 남한을 침공할 수 있었던 이유도 스탈린의 군수물자-무기지원 약속 등 적극적 개입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1990년 9월 수교를 맺었고, 지난 2008년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도 됐지만 여전히 거리감이 있는 이유다.

    이처럼 문 대통령의 대화 손짓에도 러시아의 반응이 차갑게 돌아오면서 자칫 빈손외교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같은 날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최고위원·방송장악저지투쟁위원 연석회의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발언에 대해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라 20년 전부터 나온 얘기"라며 "이제는 그런 발언에 현혹되지 말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새 대북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핵 균형만이 북한 핵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유효하고 적절한 수단"이라며 핵무장 및 전술핵 재배치를 정부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