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케이 “현지 말도 모르는 채 대형 장비 들고 다니는, 그런 간첩 어디 있냐”
  • 산케이 신문 등은 지난 14일 "중국에서의 일본인 스파이 구속은 시진핑 집권 이후 일어난 조작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日산케이 신문 관련보도 화면캡쳐.
    ▲ 산케이 신문 등은 지난 14일 "중국에서의 일본인 스파이 구속은 시진핑 집권 이후 일어난 조작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日산케이 신문 관련보도 화면캡쳐.


    일본 정부가 “중국에서 일본인을 간첩으로 모는 일이 빈번하니 주의하라”고 당부했다고 日언론들이 지난 14일 보도했다. 지난 5월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주요 외신이 “中정부가 또 일본인 6명을 간첩 혐의로 구금했다”는 보도를 한 지 3주 만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산케이신문 등 日언론들은 “지난 5월 하순, 中요녕성 다롄에서 60대 일본인 남성이 中공안 당국에 ‘스파이 혐의’로 구속된 사실이 또 밝혀졌다”면서 “2015년 이후 중국에서 ‘국가안전위해범죄’ 혐의로 구속된 일본인이 10명이 넘는, 이상한 상황”이라고 14일 보도했다.

    산케이신문 등 日언론들은 “냉전 시절, 미국과 소련은 상대방에게 붙잡힌 스파이들을 서로 교환했다”면서 “중국 정부의 주장대로 구속된 12명의 일본인이 진짜 스파이라면, 일본 정부가 국내에서 활동하는 중국 스파이 12명을 붙잡아 교섭에 나서야 하는 게 정상이지만 그런 움직임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日언론들은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 정부는 그 어느 나라를 대상으로도 스파이 활동을 벌이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면서 “일본 법률에는 첩보활동에 쓸 예산을 확보할 근거조차 없으므로, 관방장관의 말은 아마도 사실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日언론들은 “중국이 구속 중인 일본인 12명의 경력을 살펴보면, 이들이 정보 분야에서 일했다는 기록은 전혀 찾을 수 없는, 민간인이라는 것이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日언론들은 “중국 정부가 지난 3월 ‘스파이’라며 구속한, 치바縣 소재 지질조사기업 연구원 4명의 경우 중국어도 모르는 사람들이 커다란 지질조사장비를 들고 왔다 갔다 하다 붙잡혔다”면서 “역사적으로 해외에서 이처럼 눈에 띄게 스파이 활동을 한 사례는 없을 것”이라며 중국의 행태를 비꼬았다.

    산케이 신문의 경우 “중국 당국이 ‘스파이’라며 구속한 일본인들이 군사보호구역에 잘못 들어가거나 촬영을 했을 수도 있지만, 이 사람들을 몇 시간만 조사해 봐도 무고한 민간인임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일본인들에게 ‘스파이’라는 누명을 씌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 지난 5월 21일 홍콩SCMP는 "일본인 6명이 중국 당국에 간첩혐의로 붙잡혔다"고 보도했다. ⓒ홍콩SCMP 관련보도 화면캡쳐.
    ▲ 지난 5월 21일 홍콩SCMP는 "일본인 6명이 중국 당국에 간첩혐의로 붙잡혔다"고 보도했다. ⓒ홍콩SCMP 관련보도 화면캡쳐.


    일본 언론들은 중국 정부가 일본인을 ‘외국 스파이’라며 구속하는 사례를 두고 “시진핑이 집권한 뒤 국민들 사이에 반일감정을 자극함으로써 내부 결속, 체제 강화 등을 하기 위해 간첩 사건을 조작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 같은 일본 언론들의 의혹 제기는 어느 정도 근거가 있어 보인다. 중국 정부가 유독 일본인을 ‘스파이’라며 구속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6명의 일본인을 ‘스파이’ 혐의로 구속한 사실을 보도했다. 이때 중국 정부가 ‘스파이’ 혐의로 구금 중인 일본인은 모두 12명으로, 2015년 이후에 구속됐다고 전했다.

    당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최근 중국 정부는 국민들에게 스파이를 신고하라고 독려하고 있으며, 베이징에서는 외국 스파이를 신고할 경우 50만 위안(한화 약 8,3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가 ‘외국 스파이’ 적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이처럼 일본인들을 ‘스파이’ 혐의로 구속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별다른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내놓은 것이라고는 지난 5월 외무성 해외안전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을 방문했을 때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사진촬영, 측량, 지질조사 등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당부한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