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책실에 신설된 경제보좌관에는 김현철 서울대 교수
  • ▲ 임성남 외교1차관(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 유임이 발표됐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박병석·박광온·박정 의원과 함께 출국하고 있는 임성남 차관의 모습. ⓒ뉴시스 사진DB
    ▲ 임성남 외교1차관(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 유임이 발표됐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에 참석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박병석·박광온·박정 의원과 함께 출국하고 있는 임성남 차관의 모습. ⓒ뉴시스 사진DB

    문재인 대통령이 6개 부처 차관 인사를 단행하고, 청와대 직제개편을 통해 신설된 정책실 산하 경제보좌관도 인선했다.

    외교부 1차관에는 지금의 임성남 차관이 그대로 유임 발표됐다. 이달말에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고, 내달초에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G20 정상회의가 잡혀 있는 등 목전으로 다가온 숨가쁜 정상외교 일정을 앞두고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6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외교부·국방부·보건복지부·문화체육관광부·미래창조과학부·국민안전처 6개 부처의 차관 인사와 함께 청와대 경제보좌관 인선 결과를 발표했다.

    외교1차관에는 임성남 차관의 유임이 발표됐다. 임성남 차관은 서울 출신으로 대신고와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왔다. 외시 14회로 주중공사와 주영대사를 지내는 등 강대국 외교에 능한 전략통으로 알려져 있다.

    직전 정부의 차관을 유임한 배경으로는 최근 김기정 국가안보실2차장이 교수 시절 품행 관련 구설수로 낙마하고,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강경화 외교장관후보자도 잇단 구설수에 휘말려 낙마 가능성이 엿보이는 등 외교·안보라인이 총체적으로 흔들리고 있는 점이 꼽힌다.

    새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이 카드장 무너지듯 일제히 붕괴되면, 이달말로 잡힌 한미정상회담과 내달초에 열릴 독일 함부르크 G20정상회의를 준비할 주체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실무준비의 용이함과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해 현재의 외교1차관을 유임 조치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안전처 차관에는 류희인 충북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가 임명됐다. 류희인 차관은 경기 출신으로 휘문고~공군사관학교(27기)를 나왔으며, 독일지휘참모대학을 졸업했다. 노무현정권에서 청와대 위기관리비서관을 지냈으며,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비상임위원을 맡기도 했다.

    안전처는 전날 오전 발표된 정부조직개편안에 따르면 정부조직법개정안이 국회에서 의결되는대로 폐지를 앞두고 있다. 짧은 기간이지만 차관 임명을 강행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세월호 재조사' 의지가 담긴 '코드 인사'라는 평이다. 추후 행안부2차관 등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월호 재조사'를 진두지휘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미창2차관에는 김용수 방통위 상임위원이 임명됐다. 서울 출신으로 동성고~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박근혜정권에서 청와대 정보방송통신비서관을 지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정보통신방송정책실장 등을 지낸 방송정책 전문가로 알려졌다.

    문체1차관에는 나종민 동국대 석좌교수가 임명됐다.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광주고~고려대 행정학과를 나왔다. 행시 31회로 문체부 문화정책국장과 종무실장, 대변인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한 정통관료 출신으로 관광·문화정책에 해박하고 소통능력과 추진력을 겸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차관에는 경남 진주 출신으로 우신고~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온 서주석 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복지차관에는 전북 남원 출신으로 전라고~성균관대 행정학과를 나온 권덕철 복지부 기조실장이 임명됐다.

    한편 신설된 청와대 정책실 산하 경제보좌관으로는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임명됐다.

    경북 김천 출신으로 대구 심인고와 서울대 경영대학을 나온 김현철 교수는 일본 게이오대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일본경제 전문가다. 서울대에서도 일본연구소장 보직을 겸임하고 있다.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이라 불린 경기침체를 겪었음에도 일자리가 넘치고 되레 기업들의 구인난 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상황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현재의 '청년실업' 대란 해법을 찾아보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가 엿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