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횃불시위대, 경찰 ‘집시법 위반’ 적용
  •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6차 주말 촛불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횃불을 들고 청와대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6차 주말 촛불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횃불을 들고 청와대 방향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하야 촉구 6차 촛불집회에서 단연 눈길을 끈 것이 하나있다. 횃불이었다. 

    이날 집회가 끝난 후 언론은 '국민의 분노가 촛불을 넘어 횃불이 됐다'며, 하야 집회에 처음 등장한 횃불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좁은 간격을 유지하며 거리를 행진하는 시민들 사이에서 이글거리며 타오르는 횃불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흉기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렇다면 '횃불'은 누가 주도했을까. 


    ▶'횃불 행진' 계획 주체는? 

    취재 결과 이날 '횃불'은, 대통령 퇴진 촛불집회를 주최하는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에서 기획했다.

    퇴진행동 측은 지난 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이미 '횃불' 등장을 예고했다.

    당시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대통령의 2차 대국민 담화를 보면서 국론을 분열시키고 촛불을 끄려는 의도를 명확히 봤다. 이제는 촛불이 아니라 횃불을 들고 박 대통령 즉각 퇴진을 목표로 투쟁하겠다"고 선전포고 했다. 

    결국 3일 촛불집회에 416개의 횃불이 등장했다. 마스크를 쓰고 '청년당'이라는 깃발을 든 청년들과 시민들이, 길이 80cm가량의 횃불 수백개를 들고 청와대로 행진했다. 

    중앙일보와 여러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횃불 416개는 세월호 사고 날짜인 4월16일을 상징하는 숫자로 알려졌다. 

    비선실세 국정농단 파문에 편승해 세월호 사고를 정치쟁점화 하려는, 좌파진영의 속내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횃불’ 과격시위 ‘신호탄’?

  • 지난 달 30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등장한 '박근혜 대통령이 포승줄에 묶인 조형물'.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지난 달 30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등장한 '박근혜 대통령이 포승줄에 묶인 조형물'.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무엇보다 '횃불'이 다시 등장할 경우, 과격한 시위를 내심 바라는 전문 시위꾼들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6차 집회에서는 그동안 '평화집회' 성격을 띤 집회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느낌이 감지됐기 때문이다. 

    죄수복을 입은 박근혜 대통령이 포승줄에 묶인 조형물이 과격한 퍼포먼스와 함께 등장하고, 법원이 명시한 집회 허용시간을 어기며 도로를 불법 점거하는 모습에서, ‘과격 시위’ 조짐을 보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집회에 ‘횃불’이 계속해서 등장할 경우, 시민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제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집회 및 시위에서 나온 ‘횃불’은 실정법 위반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2014년 4월30일 노동절을 앞두고 열린 광주지역 노동자 대회에서 민주노총 광주본부가 세월호 사고에 대한 정부대응에 항의하기 위해 벌인 횃불시위 관련자들에게 집시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당시 경찰은 시위대가 위험한 물건(횃불)을 휴대한 상태에서 거리행진을 벌인 것으로 판단했다.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은 7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탄핵 상관없이 촛불집회를 계속 하겠다"며, 이번 주말 7차 촛불집회를 예고했다. 이번 집회에서도 '횃불'이 등장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