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이란·시리아 등과 무기밀매로 유엔 안보리 제재 대상 포함
  • 전 세계 탄도 미사일 기술확산 현황. 이 가운데 이란, 시리아, 예멘의 경우에는 북한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英의회 출판국
    ▲ 전 세계 탄도 미사일 기술확산 현황. 이 가운데 이란, 시리아, 예멘의 경우에는 북한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英의회 출판국

    中공산당은 최근 북한과의 국경 지대에서 밀수를 단속하고, 북한 선박의 자국 입항을 금지하는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中공산당이 실제로는 북한 김정은 집단의 ‘숨통’을 몰래 틔워주고 있다는 정황은 계속 나오고 있다.

    ‘문화일보’는 지난 28일 대북소식통을 인용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대상인 북한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이하 KOMID)’ 간부들이 안보리 제재 결의안 채택 사흘만인 6일, 이란을 전격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문화일보는 “KOMID 간부 4명이 지난 6일 중국 베이징 공항을 경유해 이란 테헤란을 방문했다”면서 “이들은 닷새 동안 이란 현지에서 활동하다 지난 11일 테헤란을 출발해 다시 중국을 경유, 평양으로 돌아갔다”고 덧붙였다.

    ‘문화일보’는 북한 KOMID 간부들이 이란을 방문한 것을 두고 “북한 대량살상무기 관련 수출통제가 강화되자 이를 우회하기 위한 북한과 이란 간의 ‘수상한 커넥션’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문화일보’는 “북한 KOMID는 김정은 정권의 핵심 돈줄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면서 “이 기관은 지난 수 년 동안 미사일 관련 물품을 이란 ‘샤미드 헤마트 산업 그룹(SHIG)에 판매하다 적발돼 유엔 안보리 제재 대상으로 지정되는 등 ’북한-이란 미사일 커넥션‘의 주축기관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일보’는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언론들과 같이, 북한 KOMID 관계자들이 어떻게 중국 베이징 공항에서 무사히 입출국하고 이란까지 갔는지에 대해서는 지적하지 않았다.

    ‘문화일보’가 지적한 것처럼 북한 KOMID는 미사일 기술을 이란, 헤즈볼라 등에 확산한 핵심 기관이다. 특히 북한이 이란과 미사일 기술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차례 증거가 드러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2년 12월 북한이 쏜 장거리 미사일 ‘은하3호’의 잔해다.

    당시 ‘은하3호’의 추진체 잔해를 인양한 국방부는 국방과학연구소(ADD)에 분석을 맡겼다. 분석 결과 ‘은하3호’ 부품 가운데 온도감지기와 일부 전자기기 센서류, 전선 등 10여 종류의 부품이 중국, 이란 등 5개국에서 수입한 품목으로 드러났다. 이 부품들은 군용뿐만 아니라 민수용으로도 많이 사용되어 대북금수품목으로는 지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일부 외신들은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2008년 이란이 시험 발사한 탄도 미사일의 고체 연료가 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란이 실전배치한 탄도 미사일 BM-25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북한이 만든 미사일이라는 것이 이스라엘 정보기관의 분석이다.

    2012년 12월 북한이 ‘은하3호’를 발사한 뒤 한국 국방부 관계자들은 “북한 미사일과 이란 미사일의 형태, 산화제통 등 사용된 부품들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이런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개발 커넥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은 기관이 바로 북한 KOMID였다.

    국내 언론들은 외교·안보 전문가들을 인용해, 북한 KOMID 고위 관계자가 이란을 몰래 방문한 것이 미사일 수출 문제를 상의하고, 외화벌이의 물꼬를 트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을 주로 내놓고 있다. 하지만 중국 베이징 공항을 통해 이란을 오고 갔다는 사실은 이 커넥션에서 中공산당의 ‘방조’도 한 몫을 한다는 뜻도 담고 있다.

    최근 국제사회가 중국 금융기관들의 불투명성과 부도덕성 때문에 전 세계 범죄조직의 자금이 중국을 통해 ‘세탁’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어, 북한과 이란 간의 미사일 커넥션에서 中공산당이 ‘자금 중개’와 ‘무기 밀매’를 위한 편의를 제공했을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만약 북한이 이란과의 미사일 관련 거래를 하면서, 중국 금융기관을 활용해 대금을 주고 받았다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가 아무리 강력해져도 북한 김정은 집단의 외화벌이를 100% 막을 수는 없다는 뜻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