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해역 발생 지진 3건, 역대 지진 규모 순위권…새로운 지각판 존재설도
  • ▲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50분경 日도호쿠 지방 앞바다에서 진도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사진은 이로 인해 일어난 해일이 마을을 덮치는 모습. ⓒ美지질물리학연맹(AGU) 홈페이지 캡쳐
    ▲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50분경 日도호쿠 지방 앞바다에서 진도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사진은 이로 인해 일어난 해일이 마을을 덮치는 모습. ⓒ美지질물리학연맹(AGU) 홈페이지 캡쳐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 앞 북태평양 해저 24km에서 진도 9.0이 넘는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의 여파로 닥친 쓰나미는 후쿠시마 원전단지를 덮쳤고, 지금까지도 사람이 살 수 없는 '방사능 오염지역'을 만들어 놨다. 실종자를 제외한 사망자만 1만 5800여 명으로 집계됐다.

    도호쿠 대지진 이후 한국에서도 지진, 해일(Tsunami)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특별한 움직임이 없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달라질 수도 있어 보인다.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는 오는 24일부터 동해, 남해, 서해, 중부, 제주 등 전국 5개 지방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각 광역 지자체와 함께 '지진·해일 대응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진·해일 대응훈련'은 24일 동해, 남해 본부를 시작으로 27일 서해, 중부, 제주본부까지 훈련을 한 뒤 종료할 예정이다.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지자체와 함께 실시하는 '지진·해일 대응훈련'은 해저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 그 여파로 해일(Tsunami)이 섬, 해안가로 몰려올 경우 예상되는 인명 피해, 원전 손상 등의 시나리오를 상정한 뒤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지역별 특성에 맞춰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해안 또는 섬에 거주하는 주민과 어선 대피 훈련, 해상인명구조 현장 훈련 등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쉽게 풀이하면,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면, 각 유관기관이 상황을 전파하고, 이를 접수한 경비함과 안전센터는 방송시설과 통신을 이용해 선박, 주민 등에게 신속하게 대피할 것을 권고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지진과 해일(Tsunami)이 닥친 뒤의 상황을 가정했을 때는 피해 지역의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는 한편, 함정·항공기·구조대 등을 급파하고, 표류·좌초·전복 선박 등에서 사람들을 구하는 훈련을 한다는 것이다.

    홍익태 국민안전처 해경본부장은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될 경우 해안가에 있는 주민들은 신속히 가까운 고지대로 대피하고, 정박 중인 선박은 가능한 바다로 이동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이번 훈련에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 1978년부터 2015년까지 한반도 일대 지진 진앙지 분포도. ⓒ기상청 제공
    ▲ 1978년부터 2015년까지 한반도 일대 지진 진앙지 분포도. ⓒ기상청 제공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가 '지진·해일 대응훈련'에 나서는 것은 2011년 3월 日도호쿠 대지진 이후 한국 사회에서도 지진과 해일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진 탓도 있다.

    그동안 한반도는 환태평양 화산 활동지대인 '불의 고리(ring of fire)' 바깥에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수 년 사이 한반도에도 지진이 빈발하는 '활성단층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국민들을 긴장케 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한반도에서도 진도 6.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실제 한반도 지진 횟수는 1978~1998년 연평균 19.2회에서 1999~2014년 연평균 47.7회로 약 2.5배 상승했다.

    특히 2011년 이후 최근까지 규모 3.0(실내에 있는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정도) 이상의 지진이 54건이나 발생했고, 그 중 15건이 서해 해역에서 발생해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만들었다.

  • ▲ 1978년부터 2015년 사이 한반도 일대 지진 발생 빈도 그래프. 갈수록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 1978년부터 2015년 사이 한반도 일대 지진 발생 빈도 그래프. 갈수록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기상청에 따르면 2014년 4월 충남 태안군 격렬비열도 서북서쪽 100km 해저에서 진도 5.1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이는 지진 관측 이후 3번째 규모였다.

    2015년에는 인천 옹진군 연평도 남남서쪽 18km 해저에서 진도 3.5의 지진이, 2013년 5월에는 인천 백령도 남쪽 31km해저에서 진도 4.5의 지진이, 2011년 6월에는 인천 백령도 동남동쪽 13km 해저에서 진도 4.0의 지진이 발생했다.

    역대 지진 규모별 7위권에 든 3건 모두 서해에서 발생한 것이다. 때문에 국민들은 그동안 "정부가 언젠가 있을지 모르는 지진, 해일 등의 재난에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계속 요구해 왔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사고 이후 신설된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1천 38명의 직원과 연간 3조 3천억 원의 예산으로 이 같은 재난재해 대응책을 마련하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들의 요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