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란 나라를 긍정적으로 볼때도 됐고, 그래야 극복도 가능하다"
  • ▲ 16일 오후 서울 마포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열린 '2016, 친일을 생각한다' 토론회에서 연세대학교 송복 명예교수가 기조강의를 하고있다. ⓒ자유경제원 제공
    ▲ 16일 오후 서울 마포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열린 '2016, 친일을 생각한다' 토론회에서 연세대학교 송복 명예교수가 기조강의를 하고있다. ⓒ자유경제원 제공

     
    일제 식민지배에서 광복을 맞은지 70여년이 지났지만, 우리사회는 '친일'이라는 용어에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고 있다. 우리사회의 명망있는 정치인, 지식인도 친일프레임에 매도당해 악(惡)이 되곤한다. 이러한 현실을 짚고자, 자유경제원에서 '친일'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였다.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15일 오후 서울 마포 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2016, 친일을 생각한다'의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자유경제원 현진권 원장은 토론회를 시작하면서 "대한민국의 아킬레스건이라고 부를 수 있는 용어가 몇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친일'이다. 우리 사회가 친일에 대해 금기시하고, 지식인들사이에서 이야기 힘든 용어였고, 많은 사람들이 이 얘기를 잘못 꺼내서 엄청난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많다"고 언급했다.  

    이어진 기조 강연에서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는 "애국도 독립운동도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친일 인명사전'을 만들어 해방 70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친일파 규정에 열정을 쏟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건국을 처음부터 반대하고, 대한민국의 엄청난 발전을 혐오하고, 북에 비해 지나치게 격차를 벌려 놓은 대한민국의 거대한 성취를 수긍하지 못하는 사람들, 흔히 좌편향하고 있는 사람들이 친일프레임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송 명예교수는 "이제 70년이 흘렀고 대한민국은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경제대국이 되었고, 민족주의시대도 지났다"며 "이제 민족을 초월하고 민족개념을 더 넓혀 전 세계 사람들이 동일민족이 될 수도 있다"고 글로벌한 관점에서 조명했다. 

    나아가 "그런 의미에서 일본이라는 나라를 긍정적으로 볼 때도 됐다"며 "일본을 긍정적인 자세로 바라봐야 극복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 ▲ 친일인명사전 표지 ⓒ뉴데일리 DB
    ▲ 친일인명사전 표지 ⓒ뉴데일리 DB


    나라정책연구원 김광동 원장은 "전세계를 통틀어 유독 한국인만 일본을 보는 인식이 매우 부정적이고 과도하게 적대적"이라며 "한국인의 대일본 의식은 세계인들이 일본을 인식하는 것과 커다란 격차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갤럽과 BBC의 과거 조사내용을 토대로 한국이 좋아하는 나라들은 미국, 호주, 스위스. 캐나다 등 인데, 이들 모두 한국보다는 일본에 각별히 호의적이며, 유독 한국만이 일본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러한 결과를 식민지배의 원인으로 설명하려하는 사람도 있지만,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은 대만,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과 비교 했을때, 유독 한국만 일본에 대해 적대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중앙대 김승옥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의 교과서는 일제가 토지조사사업에 대해 전국의 농지를 수탈한 것으로 돼 있지만, 이러한 주장은 많은 연구를 통해 근거가 없음이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산미증식계획 역시 조선의 쌀을 10% 정도 증산한 다음에 절반의 쌀을 수탈했다고 알려져 있다"며 "절반의 쌀이 일본으로 간 것은 맞지만, 이는 당시 일본의 쌀 시세가 비쌌기 때문에 당시 지주들이 앞다퉈 일본에 쌀을 팔았다. 이것은 수탈이라기보다 수출이라고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김용삼 미래한국 편집장은 "전형적인 포퓰리즘성 민족정치는 반일이라는 걷잡을 수 없는 감정에 휘말려, 근대 유산을 없애버려야 할 역사로 만들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편집장은 "김영삼 정부 때 철거된 조선총독부 건물은 단순히 일본의 상징이 아니라 조선 아픈 역사이자 동시에 대한민국의 시작을 알린 역사적 장소였다"며 "이 건물에서 1948년 5월 10일에는 제헌국회가 열렸고 같은해 8월 15일에는 청사 앞뜰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이 열렸다"고 밝혔다.

    "반일감정에 취해 철거한 조선총독부 건물은 결과적으로 우리는 미 군정청의 역사의 현장, 대한민국 제헌의회 개원 현장,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현장이었다"며 "대한민국 산업화·근대화·민주화의 현장을 우리 손으로 깨끗이 부숴버렸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 ▲ ⓒ자유경제원 제공
    ▲ ⓒ자유경제원 제공

     
    이선민 조선일보 선임기자는 "이 세미나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친일', 구체적으로는 건국-산업화세력에게 좌파가 붙이고 있는 '친일파'라는 낙인에 대해 생각해보자는 것"이었다며 "대한민국 건국 당시 3부 요인은 모두 해외 독립운동가이거나 국내 민족운동가였고, 반면에 북한 정권 수립 당시 중요인사 상당수가 친인 활동 했던 인물이라는 것은 이미 밝혀졌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문제에 대해 대한민국을 만들고 지켜온 사람들이 수세적인 입장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기자는 "이제 한국이 일본에 못지 않은 국력을 지닌 국가가 된 상황에서 '친일이냐 반일이냐'는 좁은 잣대로 오늘의 대일관계를 평가해선 안된다"며 "한일관계의 획기적인 개선은 한국의 노력만은 가능한 것이 아닌 만큼, 일본의 최근 역사인식에서 퇴행적인 모습을 보여주는것은 몹시 안타깝까운 점"이라고 밝혔다.

    경희대 국제대학원 이영조 교수는 "우리사회에서 언제부터인가 '친일'이란 낙인은 어느 누군가를 사회적으로 매장시키는 가장 좋은 무기가 되었다"며  "이는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더욱 강고해지고 있는 반일감정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성적 논의조차 불가능하게 반일감정이 고조된 이면에는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면서 북한정권을 옹호하려는 담론이 숨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