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日도쿄 한미일 외교차관 회의 후 한국 기자들 만나 최근 상황 설명
  • ▲ 외교부 전경. 외교부는 지난 17일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 결의안과 관련한 움직임이 곧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데일리 DB
    ▲ 외교부 전경. 외교부는 지난 17일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 결의안과 관련한 움직임이 곧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뉴데일리 DB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中공산당이 움직일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한미일은 18일부터 활발하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 외교부는 이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추가 대북제재에 대해 언질을 띄웠다.

    외교부 관계자는 지난 17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 언론과 만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와 관련해 금주 중으로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 관계자는 “유엔 안보리 추가 대북제재 초안은 아니지만 그 윤곽이 (유엔에서) 돌고 있을 것이며 중국 또한 세밀히 검토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고 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지난 1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회의에 대해서도 “과거 북한의 핵실험 때와는 분위기가 달랐다”면서 유엔 안보리를 통한 추가 대북제재를 위해 삼국이 적극적으로 움직일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지난 3번의 북한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안을 냈지만, 충분한 압력이 안 돼 결과적으로 북핵 실험 방지에 실패했다”면서 “미국은 올해 대선을 앞두고 있어 이번에는 북한에 확실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는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中공산당 고위층과 한국 간의 전화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시진핑 中공산당 총서기는 한국을 포함 누구와도 통화하지 않고 있으며, 기시다 후미오 日외무상도 왕 이 中공산당 외교부장과 통화를 못했다”고 전했다.

    한편 외교부 관계자는 中공산당의 대북제재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국은 전술적으로 좀 더 시간을 벌려 할 것”이라며 “중국과 러시아는 대북제재에 100% 만족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고 한다.

    이는 한미일 삼국이 유엔 안보리를 통한 대북제재 결의안을 이끌어낼 때 中공산당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