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3사건이 민중항쟁이면 9·28수복은 반역이다!
    위선과 쌩 쇼, 그리고 여러 노림수의 안보 제스처

    이 덕 기 / 자유기고가 

      “군중(群衆)들의 폭력적 집합행동[collective behavior, 集合行動 : 미조직적인 군집행동과 조직적인 사회운동을 포함하는 개념]을 ‘인민항쟁’이라고 부르느냐, ‘폭동’이라고 부르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부르는 사람의 사상(思想)과 관련된 것이다.
    그러한 군중들의 폭력적 집합행동을 이끈 사상과 동일한 사상을 가졌거나 그에 동정적인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인민항쟁이라 부르고, 그들과 반대되는 사상을 가졌거나 비판적인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폭동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한라산 기슭의 여러 오름(岳)에서 오른 봉화(烽火)를 계기로 무장한 남로당 인민유격대는 제주도내 12곳 경찰지서를 습격하여 경찰관을 살해하고, 5·10선거 관계자들을 비롯한 우익단체 인사와 그들의 가족을 테러하는 피의 반란(叛亂)을 일으켰다. 
  •   ‘1948년 8월 15일 건국된 대한민국’의 민족사적 정통성과 자유민주주의 정체성을 굳게 믿는 궁민(窮民), 즉 ‘대한민국이 조국(祖國)’인 자들은 이 사건을 ‘제주 4·3폭동’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건국 이후 대한민국의 역정을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라고 주장하는 분이 국군(國軍)을 통수했던 시절에 ‘잘못된 역사 바로잡기’를 내세워 이 사건의 성격을 달리 평가해 놓았다. 그리고 필자가 과문(寡聞)한 탓인지, 그 평가가 바뀌었다는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다. 

  이른바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약칭 4·3위원회)에서 작성한 ‘제주 4·3사건 진상 보고서’(약칭 4·3보고서)가 “역사의 진실을 정치 논리에 의해 왜곡시킨 반(反)역사적인 행위이면서, 정치권력으로 역사를 바꾸려 했던 폭력의 극치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이 조국인 대부분의 궁민(窮民)들은 이에 동의한다.
그리고 『4·3위원회』가 의도한 보고서의 중심 논점이 다음과 같다는 지적에도 주목한다.
  •  = (가) ‘4·3사건’은 민족통일정부 수립을 방해하는 5·10선거를 거부하고 외세인 미군정(美軍政)과 부정부패 세력에 저항한 정당한 민중저항운동이다.
       (나) 이를 무력으로 진압한 이승만 정권은 불법적으로 비상계엄을 발표하여 무고한 양민을 학살하였다. 
       (다) 미군정 하에서 일어난 이 사건은 처음부터 미군정이 개입하였고, 그 진압 과정에서 미국이 작용하였으므로 그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라) 그래서 4·3은 정의로운 민중운동이기에 이를 국가권력으로 제압한 대한민국 정부는 과오를 저질렀으므로 도민에게 사죄해야 한다. 
       이러한 논점의 궁극적인 의도는 대한민국 정부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자주적 결정권을 억압하는 외세를 배격하여 반미사상을 강조하는데 있었다.
    희생당한 주민의 명예를 회복한다는 애초의 주요 목적까지도 수단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보고서는 4·3의 진상을 규명하지 않고 정치적인 의도로 역사를 왜곡시켰다. = (현길언, 소설가/<본질과 현상> 발행인)

     
  • ▲ 서울시청 국정감사에서 인사말하는 박원순 시장.(2015.9.17)[연합뉴스]
    ▲ 서울시청 국정감사에서 인사말하는 박원순 시장.(2015.9.17)[연합뉴스]

     그런데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이 『4·3보고서』의 실질적인 작성 주체가
     ‘제주 4·3보고서 작성 기획단’이며, 당시 그 단장은 현재 ‘사람 중심의 서울’을 만드는데 진력하고 있는 서울시장님이시다. 요즘 많은 시민들은 ‘내(자기) 사람 중심의 서울’이 돼 가고 있다고 수군거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