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케이신문>을 '찌라시'로 전락시킨
    가토 타츠야(加藤達也) 기자의 오보(誤報)

    東京의 한국 특파원이 天皇家에 대해 악의적 보도를 했다면
    일본이 과연 어떻게 대응했을 지를 일본 언론과 정부 당국자들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김필재(조갑제닷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수상은 15일 서울에서 일본으로 돌아온 <산케이신문>의 가토 타츠야(加藤達也, 前 서울지국장)를 수상관저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아베 수상은 가토 기자를 위로했으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그에 대한 기소 철회를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

    문제가 됐던 가토 記者의 보도는 ‘국내 증권가에서 돌아다니는 소문’과 <조선일보>의 2014년 7월18일자 칼럼(제목: 대통령을 둘러싼 風聞)을 기초로 작성한 것이다.
  • ▲ 일본에 도착한 가토 타츠야.
    ▲ 일본에 도착한 가토 타츠야.

문제의 기사는 한국 검찰의 수사결과 명백한 오보로 판명됐다. 가토 記者는 자신의 기사가 오보(誤報)라는 한국 법원의 판단에 “그동안의 심리와 검찰수사로 볼 때 타당하다”며 “이의를 제기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런데도 “내가 소문에 대한 칼럼을 썼을 때 명확하지 않던 사회적 관심사가 검찰 조사에서 명확해져 사회적으로 의미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음모론은 주로 미제(謎題)의 사건을 다룰 때 ‘그럴듯한’ 대안이 된다. 그러나 음모론을 제기하는 쪽이나 음모론을 비판하는 쪽 모두 객관적·과학적·논리적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사실여부를 확인도 않은 채 가토 기자의 의혹 제기를 내심 반기면서 이를 악용했던 국내 언론도 그와 함께 독배(毒杯)를 마신셈이다.

가토 기자는 사실을 보도해야 하는 언론인로서 최소한의 윤리조차 저버렸다. 이런 그를 총리까지 나서서 환대한 일본 정부의 행태는 고약해 보이기까지 한다. 東京의 한국 특파원이 天皇家에 대해 악의적 보도를 했다면 일본이 과연 어떻게 대응했을 지를 일본 언론과 정부 당국자들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김필재(조갑제닷컴) spooner1@hanmail.net

  • ▲ 일본에 도착한 가토 타츠야.
    <주> 아래는 誤報로 확인된 가토 타츠야 記者의 기사 全文.

    [추적·서울발] 박근혜 대통령, 여객선(세월호) 침몰 당일 행방불명…누군가와 만났다?

    ■ <한국 갤럽>에 따르면, 7월 마지막 週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前週에 이어 40%라고 한다. 불과 3개월 전만해도 60% 전후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통령의 권위가 이제 볼품없어졌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렇게 되면 대두되는 것이 대통령 등 권력중추에 대한 진위 불명의 소문이다. 이런 가운데 여객선 침몰 사고 당일인 4월16일 朴 대통령이 7시간 동안 소재불명(所在不明)이었다는 ‘팩트’가 나와 정권의 혼미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 가토 타츠야 기자)

    7월7일 국회 운영위에서 대통령 측근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모습이 보였다. 먼저 질문자인 左派계 야당, 새정치민주연합의 박영선 원내대표와 김 실장과의 질문․답변을 소개한다.

    박 대표: “김 실장님. 세월호 사고 당일, 박 대통령에게 서면보고를 10시에 했다고 하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김 실장: “네”

    박 대표: “그 당시, 대통령은 어디에 계셨습니까?”

    김 실장: “저는, 정확히는 모릅니다만, 국가안보실에서 보고를 했다고 들었습니다.”

    박 대표: “대통령이 어디에 있으면 서면보고를 하나요?”

    김 실장: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를 하는 경우는 많습니다.”

    박 대표: “많다구요…? 상황이 긴박하다는 것을 청와대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까? ”

    김 실장: “아닙니다.”

    박 대표: “그러면 왜, 서면 보고를 했습니까.”

    김 실장: “정확한 상황을… 그렇다고….”

    (朴 대통령은 측근이나 각료들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 되는 ‘불통(不通) 대통령’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대통령께의 보고는 메일이나 팩스에 의한 ‘서면보고’가 대부분이라고 하여, 이날 질의에서도 야당 측은 서면보고에 대해, 다른 사람의 의사를 받아들이지 않는 朴 대통령의 불통 정치의 표본이라며 문제시하였다. 다음 질문은 4월 16일 당시 대통령의 소재에 관해서이다.)

    박 대표: “대통령은 집무실에 계셨습니까?”

    김 실장: “위치에 관해서는, 나는 모릅니다”

    박 대표: “비서실장이 모른다면, 누가 알고 있어야 합니까”

    김 실장: “비서실장이 대통령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박 대표: “(당일, 낮 동안) 대통령의 일정은 없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집무실에 안 계셨던 것입니까.”

    김 실장: “아닙니다.”

    박 대표: “그럼, 왜 모른다고 하십니까.”

    김 실장 “집무실이 멀기 때문에, 자주 서면으로 보고를 합니다.”

    박 대표: “답변이 명확하지 않네요. 납득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대통령의 서면보고는 여러 가지로 문제시 되어 왔습니다,”

    《박 대표는 여기에서, 국회와의 연락과 조정을 담당하는 조윤선 정무 수석 비서관(前 여성 가족부 장관)에게 답변을 요구했다.》

    박 대표 “조 정무수석 비서관님, 마이크 앞에 서 주세요. 여성가족부 장관 때도, 주로 서면 보고를 했다고 들었습니다. 직접 대면하여 대통령에게 보고 한 적이 있습니까?”

    조 비서관: “예, 있습니다.”

    박 대표: “언제입니까”

    조 비서관: “대면보고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박 대표: “어느 때입니까”

    조 비서관: “안건은 기억나지 않습니다.”

    박 대표 “그럼, 확인하고 나서 서면으로 제출해 주십시오.”

    ■ 일련의 문답은 朴 대통령의 불통방식, 청와대 내 의사소통 문제점에 대한 에피소드라고도 할 수 있지만, 그렇다하더라도 정부가 국회에서 대참사 당일 대통령의 소재와 행동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도 없고, 질문도 할 수 없어 대답을 들을 수 없다는 것은…. 한국의 권력 중심부는 이처럼 숨기는 게 많다는 것인가. 이에 대한 불만은, 소문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대표적인 예가 한국에서 최대 부수를 자랑하는 일간지 <조선일보> 기자의 칼럼이다. 그것은 “대통령을 둘러싼 소문”이라는 제목으로 7월18일 게재됐다.

    칼럼은, 7월7일 청와대 비서실의 국회 운영위 업무보고에서, 세월호 사고 당일, 朴 대통령이 오전 10시경에 서면보고를 받은 것을 마지막으로, 중앙재해대책본부를 방문할 때까지 7시간, 만난 사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대통령을 둘러싼 한 가지 의혹을 제시했다. 칼럼은 이렇게 이어진다.

    <김 실장이 “나는 모른다” 라는 것은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숨겨야만 하는 대통령의 일정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세간에서는 “대통령은 당일, 모처에서 ‘비밀리에 접촉(秘線)’한 사람과 함께 있었다” 라고 하는 소문이 나돌았다.>

    ‘비선(秘線)’은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이다. 한국어 사전에서도 찾기 어려운 단어지만, 확실한 것은 ‘비밀리에 접촉하는 인물’을 나타낸다. 칼럼을 쓴 기자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인물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칼럼은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대통령을 둘러싼 소문은 최근까지, 증권가 정보지와 타블로이드판의 주간지에 등장했다.”

    그 소문은 ‘양식 있는 사람’은 ‘입에 내뱉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품격이 깎이는 것처럼 생각 된다”고 할 정도로 저속한 것이라고 한다. 소문은 무엇일까.

    증권가의 관계자에 의하면, 그것은 박 대통령과 남성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상대는, 대통령의 모체(母体), 새누리당 측근으로 당시는 유부남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증권가는 그 이상 구체적으로 파고들면 입이 무거워진다. 아울러 “소문은 이미 한국의 인터넷 등에서는 사라지고 읽을 수 없다”고 한다. 일종의 도시 전설화되고만 것이다.

    칼럼에도, 소문이 박 대통령을 둘러싼 남녀 관계에 관한 것이라고, 분명히 쓰여 있지는 않다. 칼럼의 기자는 다만 “그런 느낌으로 (저속한 것으로) 간주되어온 소문이, 사적인 자리에서도 단순한 잡담이 아닌 ‘뉴스 격’으로 다뤄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아마도, “대통령과 남자’ 이야기는, 한국 사회 구석구석 여기저기에서 한동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것이다.

    ■ 이 칼럼은, 소문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언급하지 않은 채 그냥 끝날 것이라고 생각됐으나
    어느 순간 갑자기, 구체적인 성명을 내며 “실명 보도”로 바꾸었다.

    “때마침, 소문의 인물인 정윤회 씨의 이혼 사실까지 확인되어, 소문은 더욱 드라마틱하게 됐다.”

    정씨가 이혼한 여성은 최태민이라고 하는 목사의 딸이다. 정씨 자신은 대통령이 되기 전 7년간 박근혜 씨의, 비서실장으로 일했던 인물이다

    칼럼에 따르면, 정씨는 이혼할 당시 아내에게 모든 재산 분할 및 위자료를 청구하지 않는 조건과 함께, 결혼생활 동안 보고 들은 것에 대한 ‘비밀 유지’를 요구했다고 한다.

    증권가에서는, 박 대통령의 “비선(秘線)”은 정씨를 염두에 놓은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러나 ‘박씨와의 긴밀한 관계가 소문이 된 것은, 정씨가 아니라 그의 장인 최 목사’라고 밝힌 정계 관계자의 말은 단순한 것이 아니다.

    또한 <조선일보> 칼럼은, 이러한 수수께끼도 쓰여 있다.

    정씨가 최근 응한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공식적으로 나의 권리에 개입 하는 것과, (박근혜 대통령의 친 동생) 박지만 씨를 미행한 의혹, (박 대통령의) 비밀 활동 등을 모두 조사하라’고 소리를 질렀다.”

    구체적으로는 무슨 일인지 전혀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권력 중심부와 그 주변에서, 어쩐지 불온(不穏)한 움직임이 있는 것이 느껴져 이 글을 쓰는 것이다.

    소문의 진위 여부를 추적하는 것은 현재 진행 중이지만, 칼럼은, 朴 정권을 둘러싼 “상스러운” 소문이 거론된 배경을 분석하고 있다.

    <세상 사람들은 진위 여부를 떠나서, 이런 상황을 대통령의 현재 상황과 연관하여 생각하고 있다. 과거라면 대통령의 지지 세력에게 불벼락이 떨러졌을 것이다. 지지자 이외에는 ‘언급할 가치조차 없다’고 관심 자체를 두지 않는다. 그리나, 지금은 그런 이성적 판단이 붕괴된 것이다. 국정 운영에서 높은 지지를 유지하고 있었다면, 소문 자체가 언급되지 못했을 것이다.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가 붕괴됐기 때문에, 모든 소문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朴 정권의 레임덕화(완전히 넘어지게 된 상태)는 착실히 진행되고 있는 듯하다.

    [조갑제닷컴=뉴데일리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