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병서의 언행이 굳어있던 진짜 이유는?

    장진성 뉴포커스 발행인       

      

  • 황병서는 방한 내내 얼굴은 웃고 있었지만, 말을 극히 아끼고 행동도 매우 조심스러웠다.

    이에 대해 일부 언론과 학자들이 여러 추측을 제기하지만, 진짜 이유는 그의 직업적 천성 때문이다.
    즉 당 조직지도부란 음지권력 안에서 평생 몸 담고 일했기 때문이다.
     
    김정일은 자신의 유일권력 집중을 위해 철저히 권력을 이원화시켰다.
    고령의 명예직 간부들에게는 공개직함을 주되 실권을 주지 않았고, 대신 김일성종합대학 동창생들로 구성된 당 조직지도부 간부들에게는 실권을 몰아주되 공개직함은 절대 주지 않았다.
     
    세습 초기 김정일을 당중앙이라고 부른 것은 당 조직지도부의 기능과 역할 때문이다.
    인사권, 검열권, 수령경호권을 비롯하여 북한 노동당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해야 할 당 생활총화까지도 당 조직지도부의 당 생활지도권에 속했다.
    당 조직지도부의 만능권한에 대해서는, 북한 외교관 출신 현성일 박사의 논문에 이미 구체적으로 정리 돼 있다.
     
    김정일은 수령권한 대행 부서인 당 조직지도부를 북한체제 수호의 최후보루로 여겼다.
    그 노파심으로 당 조직지도부 간부선발부터 승진에 이르기까지 인사원칙에 외국 생활 경험자는 절대 안 된다는 내용을 못 박았다.
     
    오직 주체만 알아야지 자유세계를 엿 본 짧은 과거만 있어도 향후 사상이 변질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래서 김정일은 당 조직지도부 간부들만은 외국출장도 못 나가게 했고, 심지어 중병에 걸려도 차라리 외국의사를 초청하여 치료받게 했다.


     

  • 그렇듯 음지권력으로만 숨어있었기에 세습초기부터 김일성 사망 후 당 총비서가 된 이후에도 김정일이 비서 겸 부장직을 겸직했던 당 조직지도부는 외부세계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다.

    그래서 대부분의 북한학 학자들이 북한의 선군정치에 속아 북한의 핵심권력을 당 조직지도부가 아닌 군부라고 주장했다.
     
    대내실권과 함께 공개직함까지 가질 수 없다는 당적 원칙을 깨고 드디어 음지에서 양지로 나온 최초의 당 조직지도부 출신 간부가 바로 황병서이다.
    황병서는 장성택 처형 이후 당 조직지도부 군 담당 부부장 겸직으로 북한 군 총정치국장이 됐다.
     
    이는 김정일의 신임만 있으면 대내실권으로도 만족했던 당 조직지도부가 김정은 3대 세습 안에서 공개직함의 공개명분 갈증을 느끼고 세계 앞에 비로소 자기의 실권파워를 최초로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동시에 수령 유일권력을 보좌하기 위해 공개직함과 대내실권으로 철저히 이원화 돼 있던 북한 내 이중권력질서의 겸손이 깨지는 분파현상이기도 했다.
     
    황병서는 당 조직지도부 출신으로 평생을 위에서 지도하고 감시만 했지 동등한 위치에서 대화한 적이 없다.
    더구나 북한 밖을 벗어나 외부 세계의 사람과 마주앉아 외교한 적이 단 한번도 없는 말 그대로 주체혈통의 속물이다.


  • 그런 '평양촌놈'이 첫 나들이로 제3국도 아닌 평생 증오했던 이념북한의 주적인 남한에 왔으니
    얼마나 좌불안석이었겠는가,
     
    최룡해가 적극적이고, 김양건이 수다를 떤 것도 아마 황병서의 그 촌티를 대신 벗겨줄 수 없어 더욱 열정적이었는지도 모른다.

    일부 언론들에서 황병서의 소심한 언행을 놓고 2인자의 위치에서 자칫 실수만 하면 1인자 김정은에게 당할까봐서라는 억측을 내놓는데, 그런 상식적인 분석은 북한 내 열성 노동당원도 하지 않는다.
     
    [뉴포커스=뉴데일리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