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평교사들, 3단계 뛰어넘어 교장 발탁..특혜·코드인사 비난 쏟아져
  •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속칭 ‘진보교육감’(좌파교육감)들이, 9월1일 예정된 첫 교원인사에서, ‘전교조’ 평교사들을 교장에 임명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한 사실이 드러나, 인사전횡 논란을 빚고 있다. 사진은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좌파교육감들.ⓒ 뉴데일리DB
    ▲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속칭 ‘진보교육감’(좌파교육감)들이, 9월1일 예정된 첫 교원인사에서, ‘전교조’ 평교사들을 교장에 임명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한 사실이 드러나, 인사전횡 논란을 빚고 있다. 사진은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좌파교육감들.ⓒ 뉴데일리DB

    ‘전교조’ 교사들의 전성시대가 열렸다.

    평교사에서 교장급인 연구관, 장학관으로
    최소 3계단을 단숨에 뛰어넘는 파격적 승진이
    속칭 ‘진보교육감’이 취임한 시도교육청 곳곳에서 재현됐다.

    전교조 교사들의 파격 승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좌파교육감이 최초로 지방교육수장에 취임한 2010년에도,
    전교조 교사들의 [승진잔치]가 벌어졌다.

    4년 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전교조 교사들의 승진과 영전 사례가 더욱 늘었다는 점이다.

    전국 각 시도교육청이 이번 주 발표한 9월1일자 교원인사를 보면,
    전교조 평교사들을 교장급 직위에 임명한 곳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교육청 등 5곳이다.

    평교사가 교장에 오르기까지
    평균 25년이란 긴 기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진보교육감’ 지역에서 벌어지는 전교조 교사들의 승진 사례는
    사실상 ‘특혜’나 다름이 없다.

    전교조 교사들의 승진과 요직 점령을 바라보는
    교육계 안팎의 눈길은 곱지 않다.

    무엇보다, 이들이 좌파교육감의 전위부대로,
    [코드인사]라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역기능에 대한 우려는 매우 크다.

    당장 일선학교에서는
    비(非)전교조 교사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사기저하,
    교원사회 내부 갈등 심화, 좌편향적 교육정책에 대한 우려 등
    역기능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평교사에서 한 순간에 교장급 직위에 오른 이들의 경험부족과
    이로 인한 정책의 혼선을 우려하는 이들도 많다.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학생인권조례,
    혁신학교 확대 등의 정책들을 밀어붙일 경우,
    교육계 전체가 혼란에 빠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 이들도 있다.

    특히 스스로 ‘진보’를 자처하면서,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을 입버릇처럼 강조하던 좌파교육감들이,
    권한을 교묘히 악용해 파행적 인사를 단행했다는 사실은
    두고두고 논란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전교조 교사들의 [승진잔치]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다음달 1일자로 시행 예정인
    교원인사 결과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전교조 평교사들이 교장급인 장학관 등에 임명된 시도교육청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교육청 등 모두 ‘진보교육감’이 취임한 지역이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서울지역 초등교육정책을 책임지는 본청 초등교육과장에,
    전교조 정책실장 출신인 이용환 상원초 교장을 임명했다.

    이 교장은 2011년,
    교장자격이 없는 평교사도 교장이 될 수 있는 ‘내부형공모제’를 통해
    혁신학교인 상원초 교장에 발탁돼,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재정 경기교육감도 경기도내 혁신학교 정책을 총괄하는 학교혁신과장에,
    ‘무자격공모교장(내부형공모제)’ 출신인 현직 초등학교 교장을 임명했다.

    이재정 교육감은 이외에도
    전교조 출신 교사 두 명을 교장직급인 장학관에 임명했다.

    이청연 인천교육감은
    초등과 중등 각각 2명씩 모두 4명의 전교조 출신 평교사를
    장학관 자리에 앉혔다.

    충남교육청은 두 명의 전교조 출신 평교사를 장학관에 임명했고,
    민병희 강원교육감도 교장급급 강원도교육연수원 연수운영부장에, 
    전교조 출신을 임명했다.

    연구관과 장학관은 교장직급으로,
    같은 [교육전문직]인 연구사, 장학사보다 한 직급 위의 자리다.

    일반적으로 연구관이나 장학관이 되려면,
    ‘교육계의 고등고시’라 불리는 ‘교육전문직 시험’을 통과한 뒤,
    장학사(연구사)를 거쳐야 한다.

    ‘교육전문직 시험’도 치르지 않은 평교사가,
    장학사(연구사)를 건너뛰고 장학관(연구관)에 오르는 경우는 사실상 거의 없다.

    법령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는 거의 사례를 찾을 수 없는 이례적인 경우다.

    전교조 교사들에 대한 파격 승진에 대해
    [코드인사], [자기사람 심기]라는 비판이 쏟아지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교조 교사들에 대한 상식 밖의 승진발령에,
    해당 시도교육청은 원론적인 답변만을 내놓고 있다.

    평교사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능력 있는 인물을 발굴한 것일 뿐,
    ‘전교조’ 교사라서 특별히 혜택을 준 것은 아니라는 것이,
    시도교육청의 설명이다.

    즉, 능력 있는 인재를 찾아서 발탁승진을 한 것이고,
    이들이 ‘전교조’ 교사라는 사실은 ‘우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우연’이,
    유독 ‘진보교육감’과 ‘전교조’ 교사들 사이에서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답을 하지 않고 있다.

    시도교육청의 [전교조 특혜인사] 결과를 분석한 교총의 한 관계자는,
    좌파교육감들의 첫 인사를 ‘선거에 도움을 준 이들을 위한 특혜·보은인사’로 규정했다.

    선거과정에서 도움을 준 이들을 위한 보은인사이자
    명백한 특혜인사다.
    실망스럽다.

       - 교총 관계자


    좌파교육감들의 인사특혜가 논란을 빚으면서,
    이들의 전횡을 제도적으로 막아야 한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차제에 교육감들이 인사전횡을 일삼지 못하도록,
    정부차원에서 관련 규정들을 정비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