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가 인정한 6.25전쟁 납북자들의 사진. 정부는 2010년 12월부터 6.25전쟁 납북자 실태를 파악,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자료사진]
    ▲ 정부가 인정한 6.25전쟁 납북자들의 사진. 정부는 2010년 12월부터 6.25전쟁 납북자 실태를 파악,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자료사진]

    정부가 6.25전쟁 납북피해자 282명을 추가로 인정했다.
    이로써 정부가 인정한 6.25전쟁 납북자 수는 3,306명이 됐다.

    통일부는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는
    지난 11일 제14차 회의에서
    이만근 前국회의원 등을 포함, 282명을 6.25전쟁 납북자로 추가 결정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는
    2010년 12월 출범한 뒤 지금까지 3,306명을 강제 납북된 피해자로 인정했다.

    통일부는
    “위원회는 지난 3월부터 전국 단위로 납북피해 실태 조사를 하는 중”이라면서,
    6.25전쟁 납북자의 진상 규명과 피해가족 명예회복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납북자 가족의 고령화 등에 따른 진상규명의 한계를 극복하고,
    납북자 발생 규모와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난 3월부터 오는 11월까지 전국 단위로 납북피해 실태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납북자 가족들의 신고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전체 납북자 규모 및 명단을 파악함으로써
    종합적인 납북피해 진상규명과 피해가족의 명예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통일부는 또한 북한이 남북 고위급 접촉을 받아들이면,
    6.25전쟁 당시 납북된 피해자들,
    특히 국군포로 문제를 논의할 계획도 세워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납북으로 인해 강제로 이산가족이 된 국군포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구상’에도 포함돼 있다며
    이를 강력히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