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일본 상임이사국 진출하면 아시아에서 美 영향력 증대
  •    

    박근혜 대통령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개혁문제를 두고
    [상임이사국 증설]에 공식적인 반대 입장을 밝혔다.

    상임이사국 증설 반대 입장은 우리나라의 오래된 입장이지만,
    취임 이후 일본과 외교적 각을 세워온 박 대통령인 만큼
    일각에서는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 저지 의지를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정부 측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이는 아시아에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
    동북아 문제와 북핵 문제를 글로벌 이슈화 하겠다는 의도라는 설명이다.


  •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9일 청와대에서 인도 두르다르샨 TV 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9일 청와대에서 인도 두르다르샨 TV 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 뉴데일리

    15일부터 인도를 국빈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출국을 앞둔 지난 9일 청와대에서
    인도의 <두르다르샨 TV>와의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한 번의 선거로
    영구히 지위를 갖게 되는
    상임이사국 자리를 증설하는 것보다
    정기적인 선거를 통해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식의
    비상임이사국을 증설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한국 정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 박근혜 대통령

     

    이를 두고 일부 언론에서는
    일본이 외교력을 총동원해 추진 중인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한다는 뜻을
    사실상 분명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박 대통령이 취임 이래
    안보리 개혁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만큼
    발언을 어느 때보다 무게감 있게 본 것.

    이에 우리 정부 측은 즉각
    특정 국가에 대한 찬반 입장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우리 정부가
    우리나라와 역사-영토 논란을 겪고 있는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입을 방해하는 점은
    오히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즉, 박 대통령의 의도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비상임이사국 증설 주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미다.

     

    “현재 일본만 상임이사국 진출을 시도하는 게 아니다.
    그 외에 독일, 브라질, 인도도 있다.
    박 대통령이 굳이 인도 언론과 인터뷰에서
    안보리 개혁안을 언급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정부 관계자

     

    일차적으로는
    새해 첫 순방국인 인도는 중국을 견제하는 나라로 손꼽힌다.
    인도의 상임이사국 가입을 달가워하지 않는
    중국의 손을 들어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동시에 아시아에서 미국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는 의미도 지닌다.

    여기에 박 대통령의 비상임 이사국 확대는
    현재 비상임 이사국인 우리나라의 지위와 기간을 늘려
    북한의 [핵]을 포함한 동북아 문제를
    글로벌 화두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비상임 이사국으로 나서려는 움직임과 관련해 
    유엔의 주요 의제로 [남북문제]를 부상시키는
    좋을 기회가 될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박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유엔안보리 개혁의 4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책임성·민주성·대표성·효율성이다.

    상임이사국이 늘어나면 거부권(veto) 행사도 늘어나
    합리적인 안보리 운영이 힘들어 진다는 뜻이 담겼다.
    우리 정부는
    1998년부터 16년 간 상임이사국 증설에 반대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