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턱 관절에 문제가 생겨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거나 벌릴 때마다 '딱' 소리가 나는 환자들이 최근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악물거나 턱을 괴는 등의 습관과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이다. 특히 턱관절이 아직 다 완성되지 않은 청소년 환자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받아 빨리 치료해야한다.

    25일 건강보험공단 진료통계에 따르면 턱 관절 장애(질병코드 K07.6)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8년 20만4천995명에서 2012년 29만2천363명으로 4년동안 42.6% 늘었다. 같은 기간 관련 진료비도 135억원에서 1.5배인 203억원으로 급증했다.

    성별로는 작년 기준 여성 환자가 인구 10만명당 716명으로 남성(463명)의 1.5배였고, 연령별로는 20대가 10만명당 1천19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대(915명), 30대(617명), 70대(444명) 등의 순이었다. 결국 10~20대 젊은층이 전체 턱 관절 환자의 절반 가량(46.7%)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김문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교수는 이같은 연령 분포에 대해 "청소년기는 아래턱뼈가 완성돼 가는 시기인데다 스트레스, 예민한 감수성 등 여러 정신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턱관절 장애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턱 관절은 양쪽 귀 앞쪽에 있는 관절원판(디스크)과 이와 연결된 뼈를 말하며, 이 관절 덕분에 음식물을 씹거나 말할 때 아래턱을 움직일 수 있다. 턱 관절 장애는 이 관절 구조 자체나 관절을 둘러싼 저작근 등 근육에 문제가 있는 상태이다.

    턱 관절이 정상이 아닌 경우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아프거나 관절에서 소리가 나고, 심하면 입이 충분히 벌어지지 않게 된다.

    턱 관절 장애를 치료하려면 스트레스를 피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 등을 피해야한다. 이를 갈거나 꽉 무는 버릇, 턱을 괴는 습관 등도 고쳐야한다.

    통증이 심하고 오래 갈 경우 관절이 받는 힘을 줄이기 위해 교합 안정장치(스플린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턱관절 장애 연도·성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

    │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연평균│

    │   │ │ │ │ │ │증가율│

    │   │ │ │ │ │ │ (%) │

    ├───┬───┼─────┼────┼────┼────┼────┼───┤

    │진료인│ 전체 │ 204,995 │227,483 │247,906 │273,965 │292,363 │ 9.3% │

    │ 원 ├───┼─────┼────┼────┼────┼────┼───┤

    │ │ 남성 │ 80,871 │ 89,586 │ 98,003 │108,606 │115,613 │ 9.3% │

    │ ├───┼─────┼────┼────┼────┼────┼───┤

    │ │ 여성 │ 124,124 │137,897 │149,903 │165,359 │176,750 │ 9.2% │

    ├───┼───┼─────┼────┼────┼────┼────┼───┤

    │ 인구 │ 전체 │ 426 │ 468 │ 507 │ 556 │ 589 │ 8.4% │

    │10만명├───┼─────┼────┼────┼────┼────┼───┤

    │ 당 │ 남성 │ 333 │ 366 │ 398 │ 437 │ 463 │ 8.6% │

    │진료인├───┼─────┼────┼────┼────┼────┼───┤

    │ 원 │ 여성 │ 520 │ 572 │ 618 │ 676 │ 716 │ 8.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