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직후인 1953년 8월부터 휴전선 인접 일부 지역에서 시작한 땅굴작업에 국군포로를 동원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군포로의 국내 송환운동을 벌이는 민간단체인 물망초의 박선영 이사장(전 자유선진당 의원)은 12일 정전협정 체결 이후 귀순한 북한 군인 출신 탈북자가 최근 이같이 증언했다고 밝혔다.

    박 이사장에 따르면 이 탈북자는 "북한 인민군 15사단 50보병연대 1대대 1중대 3소대 3분대 소속으로 1953년 8월부터 강원도 양구 맞은 편으로 추정되는 북한명 '김일성고지' 뒤쪽에서 땅굴을 파기 시작했다"며 "분대원 가운데 김기택과 이봉오 등 2명이 국군포로였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국군포로 가운데 비교적 젊고 전쟁기간 부상을 당하지 않아 신체가 건강한 사람을 선발해 자원입대 형식으로 인민군에 입대시켰다"며 "북한은 폭약을 쓰면 소리가 나서 들킬 수 있기 때문에 오직 해머와 정으로만 작업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박 이사장은 이 탈북자의 주장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김기택'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4명이나 돼 특정하기 어렵지만 '이봉오'는 군 당국이 1951년 1월 전사자 처리한 경기도 김포 출신의 1명만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 이사장은 "이 탈북자가 귀순 직후 유엔과 우리 군에 더 자세한 내용을 진술했다고 밝힌 것으로 봐서 군에 기록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한이 남침용 땅굴공사에 국군포로를 이용했다는 사실은 처음 알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개인의 주장일뿐"이라며 "북한이 언제부터 땅굴을 파기 시작했는지 알기 어렵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는 북한이 1960년대 초·중반 군사력 강화를 위한 경제·국방 병진노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남침용 땅굴을 파기 시작했다는 것이 정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