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군 사령관 시절 ‘루머’로 전역할 뻔…美국방부 요청으로 연합사 부사령관 돼
  • ▲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 육사 28기를 수석입학, 수석졸업했다.
    ▲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 육사 28기를 수석입학, 수석졸업했다.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
    육사 28기로 포병 병과다.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경기고를 졸업했다.
    육사에 수석으로 입학해 수석으로 졸업했다.
    육군 1군 사령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지냈다.
    미군도 인정하는 한반도 전략전술의 최고 전문가다.
    ‘손자병법 전문가’로 불리기도 한다.

    김병관 후보는 일부 언론과 [깡통진보]의 ‘의혹 제기’로 난타 당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의혹 제기’ 뒤에 ‘배후세력’이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배후세력’ 으로 지목되는 한 사람은 전직 미군 고위층을 만나 “내가 박근혜의 슈퍼바이저다. 박근혜가 당선되면 내가 국방장관”이라는 말까지 했다고 한다. 


    벨 前주한미군 사령관의 편지,

    ‘정치적 음모’ 막기 위한 것


    이 말은 사실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할 자료가 버웰 벨 前주한미군 사령관의 편지다.  

    벨 前사령관은 지난 13일 김병관 후보 측에 직접 쓴 편지를 보냈다.
    편지에는 “김병관 후보는 최고의 국방장관감이다. 그가 장관이 되길 희망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우리나라를 떠난 지 몇 년이 지난 벨 前사령관이 왜 이런 편지를 보낸 것인지 궁금했다.
    복수(複數)의 관계자에게 확인한 결과 시작은 18대 대선 때 있었던 일 때문이었다.

    2012년 대선 무렵, 전직 장성 한 사람이 월터 샤프 前주한미군 사령관을 힐튼호텔에서 만났다고 한다.
    호남 출신인 이 전직 장성은 지난 정부에서 승승장구했었다.

    “내가 박근혜의 슈퍼바이저(관리자)다.
    박근혜가 당선되면 내가 국방장관이 된다.
    그러니 나를 지지해달라.”


    황당해진 샤프 사령관은 “이 사람 뭐지”라는 생각에 주한미군 관계자들에게 이 이야기를 전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주장이 현실이 되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고.
    그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란다.

  • ▲ 버웰 벨 前주한미군 사령관. 김병관 후보를 지지하는 자필편지를 보냈다.
    ▲ 버웰 벨 前주한미군 사령관. 김병관 후보를 지지하는 자필편지를 보냈다.



    이후 박근혜 당선자가 김병관 前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차기 국방장관으로 지명한 이후 사실과 다른 의혹제기가 시작되는 걸 본 미군 측이 이 일을 떠올려 벨 前사령관을 통해 의견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즉, 지금 김병관 후보를 향한 온갖 ‘의혹제기’에는 모종의 ‘정치적 음모’가 있다는 뜻이다.



    김병관 후보 둘러싼 ‘의혹’과 ‘사실’은?



    김 후보를 둘러싼 ‘주요 의혹’부터 먼저 보자.

    1. 독일 MTU社로부터 K2 전차 파워팩을 수입하는 ‘유비엠텍’ 고문으로 활동했다.
    2.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상장기업 유비콤 주식 20만 주를 갖고 있다 팔았다.
    3. 재개발 계획이 있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노량진 우성 아파트, 충북 청원군 강내면 토지, 경남 하동 지역 토지를 사는 등 ‘부동산 투기’를 했다.
    4. 2사단장 시절 부대 시설공사와 관련해 리베이트를 받았다가 처벌받은 적이 있다.
    5. 업자들로부터 개인적으로 GPS장비와 공학용 계산기를 받았다.  

    일부 언론과 [깡통진보]의 ‘의혹 제기’를 보면 최소한의 사실 확인이나 전후관계 설명도 없다.
    반면 김 후보 측의 설명은 현실성이 있고 설득력도 갖췄다.

    김 후보 주변의 군 관계자들은 “2사단장 시절 때 부대 공사와 관련해 처벌은커녕 감찰도 받은 적도 없다”고 말한다.

    경고장은 한 번 받았다고 한다.
    휘하 부대장이 뇌물 및 횡령으로 문제가 생겼을 때 “부하 관리 잘 하라”는 육군 참모총장의 경고장을 받은 건 사실이다.

    2사단장 시절 업자들로부터 GPS장비와 공학용 계산기를 받았다는 것도 실은 친구들로부터 기증받은 뒤 부대 물품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유비콤’ 주식을 대량 보유했다가 매각했다”
    는 주장도 그렇다.
    김 후보 측은 ‘유비콤’ 주식에 대해 이렇게 해명했다.

    “현재 ‘경원산업’으로 거래되고 있는 ‘유비콤’은 배우자가 2011년 11월~2012년 1월 기간에 유비콤 주식 1만1,000주(주당 평균 891원, 총 980만 원)을 구입했으나, 대량감자 결정으로 1,100주로 감자된 상태에서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다.

    인사청문요청서에 변경된 회사명인 경원산업으로, 감자된 1,100주(주당 1,550원, 총 170만5천 원)를 정상신고 했다.
    처음 살 때보다 1/5 이하로 떨어졌다.”


  • ▲ 유비텍(現경원산업)의 주가 추이 캡쳐[사진: 씽크풀 주가조회 캡쳐]
    ▲ 유비텍(現경원산업)의 주가 추이 캡쳐[사진: 씽크풀 주가조회 캡쳐]

    실제 유비콤은 2012년 11월 대량 감자 이후 이름까지 바꿨다.
    개미 투자자들은 이 주식으로 큰 손해를 입었다.
    김 후보도 ‘개미’였던 것이다. 


    부동산 투기?

    군 관계자,

    “그 분에게 그런 능력 좀 있었으면….” 


    부동산 투기라고 주장하는 것도 그렇다.

    군 안팎에서는 김 후보의 ‘부동산 투기 의혹’ 소식을 들은 뒤 “그 분에게 제발 그런 융통성이나 재테크 능력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는 평이 나왔다.

    2001년 김 후보 부부가 반포동 아파트를 구입했던 2001년에는 서울 강남의 웬만한 지역에서 재개발 소식이 들렸다.
    투기?
    그랬다면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뛰던 盧정권 시절 벌써 팔아치웠어야 하는데 지금도 살고 있다.

    노량진 우성 아파트의 경우에는 장남과 차남 공동명의로 사준 것이라고 한다.
    증여세도 모두 납부했다.

    “장남이 거주하는 아파트 전세를 김 후보 명의로 계약하면서 전세권 확정을 하지 않은 걸로 봐선 투기”라는 ‘머니 투데이’의 주장도 재미있다.

    김 후보는 장남의 전세를 얻을 때 확정일자를 받기 위해, 부인의 주소지를 장남의 전세 아파트로 옮겼다고 한다.
    등기부 등본에 전세권을 등기하지 않더라도 확정일자가 유사한 효력을 갖는다는 건 임대차계약법에도 있다.

    나중에 전세 아파트 세대주를 장남 명의로 바꾼 것은 결혼한 아들의 사회생활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

    충북 청원군 강내면과 경북 하동의 땅도 ‘부동산 투기’와는 거리가 멀어보였다.

    충북 청원군의 땅은 김 후보의 장인이 사준 땅으로 [30년 째 보유]하고 있다.
    경북 하동의 땅은 [선산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입한 것]이라고 한다.



    유비엠텍과 김 후보 연결짓던 <한겨레>

    결국 고소당해



    이런 것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게 ‘유비엠텍’이라는 무기중개업체에서 일했던 경력이다.

    ‘유비엠텍’은 K2 차기전차용 독일 MTU社의 파워팩을 국내에 중개하는 업체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깡통진보]는 김 후보가 이 회사에서 “외국 무기업체을 위한 로비스트”로 일했다고 주장한다.

    압권은 <한겨레> 기사다.
    지난 22일 <한겨레>의 보도 내용이다.

    “K2 전차의 핵심 부품인 파워팩 사업자로 독일 군수업체 MTU가 선정되는 과정에서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가 고문으로 있던 무기중개상 유비엠텍이 43억 원의 중개 수수료를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독일 MTU 임원이 독일 주재 우리 무관을 통해 중개상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 납품하겠다는 뜻을 국방부에 밝혔음에도 국방부와 방사청이 이를 묵살한 사실도 확인됐다.

    중간업체 배제를 희망하는 독일 업체의 의사와 달리 거액의 수수료가 들어가는 중개 방식을 고수하게 된 과정에서 김 후보자가 일정한 역할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21일 <한겨레>가 입수한 파워팩 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 내용을 보면, 2012년 1월18일 독일 주재 한국 국방무관은 MTU 임원과의 면담 내용을 국방부 정보본부장에게 보고했다.

    보고서에는 “MTU에서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파워팩 100대를 무기중개상을 통해 납품하기를 (한국 쪽이) 요청하고 있으나, 납품하는 제품이 100% 독일 생산품인데 왜 직접 납품하지 말고 생산도 하지 않는 중개상인 ㅇ사를 통해 납품하라고 하는지 모르겠다”는 MTU 임원의 발언이 담겨 있었다."
       -<한겨레> 2013.02.22


    하지만 독일주재 무관이 보낸 실제 전문 내용은 달랐다.

    “한국로템은 MTU에서 한국에 공급하는 파워팩 100대를 직접 납품하지 말고 STX를 통하여 납품하기를 요청하고 있음.
    납품하는 제품이 100% 독일 생산품인데 왜 직접 납품하지 않고 생산도 하지 않는 STX를 경유하여 납품하라고 하는지 모르겠음.” 


    <한겨레>는 있지도 않은 이야기를 하며 유비엠텍과 김 후보를 연결 지으려 노력했다.

    보다 못한 김 후보는 지난 22일 <한겨레>를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민․형사상 고발조치 하기로 결정했다. 



    유비엠텍,

    사실은 ‘무능한 방산업체’ 덕에 컸다


    무기중개업체 ‘유비엠텍’도 사실 김 후보의 ‘로비’로 큰 게 아니라 K2 차기전차 개발을 맡은 국내 방산업체의 무능함 덕을 본 것이다.

  • ▲ 차기 전차 K2의 모습. 2008년 이미 차체까지 완성한 뒤에도 '파워팩' 때문에 배치를 못하고 있다.
    ▲ 차기 전차 K2의 모습. 2008년 이미 차체까지 완성한 뒤에도 '파워팩' 때문에 배치를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K2 차기 전차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2년 4월, K2 차기 전차 개발과 관련해 “K2 파워팩 국산화 기준을 너무 높여 국내업체들이 불이익을 입었다”며 감사원이 나섰다.
    정말 그랬을까?

    사실 K2 전차는 개발계획을 세울 때부터 파워팩은 독일 MTU로부터 도입하기로 했다.
    이를 뒤집은 게 노무현 정권이다.

    1992년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처음 K2 전차 개발계획을 세울 때, 대부분의 부품은 국산화가 가능하겠지만 ‘파워팩’은 국산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파워팩’이란 전차의 엔진과 변속기 등을 모듈화한 핵심부품이다.
    특히 변속기가 중요하다.
    엔진 출력은 1,500마력 이상으로 높일 수 있지만, 50~70톤에 달하는 전차를 움직이고 가속하기 위한 엄청난 토크(Torque)를 감당할 수 있는 클러치와 기어가 필요하다.

    때문에 전차용 파워팩을 자체 생산하는 국가는 미국, 독일, 영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정도에 불과하다.
    그 중 독일 MTU社는 수많은 국가들에게 파워팩을 공급하는 ‘전문업체’였다.

    ADD와 국방부 등은 1995년부터 K2 전차 개발을 추진, 2010년부터 양산 배치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K2 개발계획은 이후 순조롭게 진행됐다.

  • ▲ MTU사가 만든 파워팩을 사용하는 이스라엘 메르카바 Mk.4. 세계 여러 나라에서 MTU의 파워팩을 쓰고 있다.
    ▲ MTU사가 만든 파워팩을 사용하는 이스라엘 메르카바 Mk.4. 세계 여러 나라에서 MTU의 파워팩을 쓰고 있다.



    하지만 2003년 노무현 정권이 포퓰리즘적 ‘자주국방’을 외치며, K2 전차 파워팩도 국산화하기로 계획을 변경하면서 엉망이 됐다.

    K2 전차 체계개발 승인은 2003년 7월에, 파워팩 등 핵심기술개발은 2005년 4월에 승인됐다.

    노무현 정권은 파워팩 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에, 변속기는 S&T중공업에 설계 및 개발을 맡겼다.

    이들 업체가 전차 관련 부품을 만들어 본 적이 없어, 이미 K1전차를 만들어 봤던 현대로템이 K2시제전차로 시험평가를 맡기로 했다.

    K2 전차에서 파워팩을 제외한 다른 부품들은 2008년 모두 ‘합격’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노무현 정권 때부터 S&T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가 개발한 파워팩은 ‘실패작’이었다.

    <한겨레>와 <D&D포커스>가 함께 발행하는 <디펜스21>도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디펜스21>에 따르면 독일 MTU의 파워팩은 1만6천km의 주행시험을 하면서 11건의 고장이 났다.
    반면 S&T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가 만든 파워팩은 8,400km의 주행시험 중 51건의 고장이 났다.
    160km 달리면 멈춰서는 ‘말로만 최고’인 전차가 돼버렸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2010년부터 양산, 전력화를 시작해야 하는 K2 전차 계획은 엉망이 됐다.
    생산단가가 1대당 90억 원 이상으로 높아진 것은 물론 파워팩 문제로 언제 배치가 될지 모르게 됐다.

    결국 국방부와 방사청은 K2 전력화를 위해 독일 MTU로부터 파워팩 100대를 도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로템은 ‘분쟁 지역 무기 수출을 금지’한 독일 현지법 문제를 우려, AS기간이 끝난 뒤에도 전시에 정비가 가능할 수 있도록 K1A1전차 엔진을 생산했던 ‘STX엔진’을 통해 파워팩을 팔아달라고 요청한 것이었다.

    유비엠텍 또한 독일 MTU와 중개계약을 맺어 수익을 올리게 됐지만, 이는 ‘로비’를 통한 게 아니라 K2 전차 파워팩을 만들기로 했던 S&T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의 ‘무능함’을 알았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이다.

    생각해보라.
    독일제 파워팩을 도입하기로 한 것이 유비엠텍의 로비 때문이었는지 S&T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의 엉터리 때문인지를.

    이 따위 ‘파워팩’을 만든 S&T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는 예전에도 ‘무능함’을 덮고 넘어가려다 언론과 현장의 군 관계자들로부터 무수히 많은 욕을 얻어먹었다.

  • ▲ 2012년 10월 S&T중공업으로 시찰을 간 국회 국방위 의원들. S&T중공업은 2003년 통일중공업을 인수했다.
    ▲ 2012년 10월 S&T중공업으로 시찰을 간 국회 국방위 의원들. S&T중공업은 2003년 통일중공업을 인수했다.



    2012년 10월 11일 김광진 민주통합당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12년 6월 S&T중공업은 K2 파워팩 변속기 프로그램을 무단으로 변경했다고 한다.

    원래 무기개발 중 중요 프로그램 변경을 위해서는 감독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S&T중공업은 자기네 시험평가를 위해 프로그램을 바꿨다가 9월 24일 시험평가에서 엔진 기통을 파손시켰다고 한다. 

    이후 방사청이 "김광진 의원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발표했지만, K2 전차에 대한 신뢰성은 땅에 떨어졌다.

    2012년 4월에는 두산인프라코어의 문제도 드러났다.
    파워팩 개발에 쓰라고 국방부가 준 개발비 중 수십억 원을 빼돌렸다 적발된 것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K2 전차 개발비를 과대계상하기 위해 굴삭기 엔진 개발비용과 연료비, 인건비를 포함시키는가 하면, 해외연수 중인 직원 10명이 K2 파워팩 개발에 참가하는 것처럼 꾸며 인건비를 허위청구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런 [무능-엉터리 방산기업]들이 여태껏 살아남은 건 군내 기회주의 세력과 ‘정치군인’ 때문이라는 게 군 안팎의 평가다. 



    현역 시절 비주류 출신,

    김 후보가 낙마하면 박수칠 사람들,

    누굴까?


    “김병관 후보자가 유비엠텍의 로비스트였다”는 일부 언론과 [깡통진보]의 주장도 확인결과 2011년 6월 별세한 故백병춘 의원의 부탁으로 ‘비상근 고문’을 맡은 것이라고 한다.

    김 후보가 맡은 일도 ‘전시를 대비해 MTU의 파워팩 생산공장을 한국에 짓는 일’에 한정된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김 후보에 대한 ‘의혹 제기’ 대부분은 사실 확인도 미흡하고 부풀려진 게 많다.
    때문에 군 안팎에서는 김 후보를 낙마시키려는 세력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 ▲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의 휴대전화 고리가 공개된 뒤 [깡통진보] 진영에서는 난리가 났다.
    ▲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의 휴대전화 고리가 공개된 뒤 [깡통진보] 진영에서는 난리가 났다.



    군 관계자들의 말에 따르면, 김 후보에 반대하는 사람 중에는 노무현 정권 때 청와대에 ‘줄을 대던’ 군인부터 ‘로비’로 생존하는 방산업체도 있다고 한다.

    일부 군 관계자들은 김 후보의 ‘의혹제기 대응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2사단장 시절의 공금 문제, 부동산 문제 등에 대해 ‘누구에게 물어보면 안다’는 식으로 말하면 안 된다.
    그러면 현직에 있는 사람들이 곤란해질 수 있지 않은가.
    때문에 지금 군 내부가 술렁이는 것이다.
    김 후보는 현직에 있는 후배들을 생각해서 의혹이 제기되면 본인이 직접 밝혀야 한다.”


    다르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김 후보가 포병 출신이자 군에서 [인맥 만들기]를 하지 않은 ‘비주류’인 탓에 ‘씹히고 있다’는 것이다.

    “모피아 등의 전관예우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정치권과 언론이 저렇게 의혹을 제기하는 건 김 후보가 비주류이기 때문이다.
    군에서 주류인 장성들이 퇴임하면, 김 후보처럼 저렇게 어디 가서 고문직을 안 맡는다.”



    3차 핵실험 끝낸 김정은과의 대결,
    적임자는?


    무엇보다 국방장관 후보에 대한 의혹제기와 해명에 앞서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차기 국방장관은 이제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북핵 문제에 맞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마추어 골프선수’ 보다는 군사적 식견과 전략전술에 탁월한 전문가여야 한다.

    미국 등 우방국과의 공조, 연합전략전술에 대한 이해도 높아야 한다.
    정보역량과 지휘통신체계의 중요성도 깨달아야 한다.

    성직자 뽑는 것 같은 ‘인사검증’은 집어 치워라.
    그 보다는 이런 군사적 ‘목적’에 맞는 인물인가가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김 후보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가 있다.

    김 후보는 연합사 부사령관을 하기 전에 1군 사령관을 지냈다.
    1군 사령관을 지내면서 김 후보는 계속 전투력 강화와 한미 연합전력 운용에 대한 연구를 할 뿐 노무현 정권과 친밀한 인맥들에게 줄을 대는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아 눈 밖에 났다고 한다.

    이후 육군본부에서는 김 후보가 명상과 단전호흡을 한다는 이유로 “미신을 믿는다” “신기(神氣)가 있다”는 등의 소문이 돌았다고 한다.
    결국 김 후보는 전역명령을 받았다.

    이 소식을 듣고 놀란 건 주한미군이었다고 한다.

    김 후보의 전략전술 능력을 높이 평가한 주한미군 지휘부가 美국방부에 건의를 했다.

    美국방부는 이 건의를 듣고 “김 사령관이 주한미군과 함께 일했으면 좋겠다”고 우리 정부에 강력히 요구해 2006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맡게 됐다는 것이다.

    김 후보는 한미연합사 해체에 강력히 반대하는 대표적 인사다.
    군내 종북 세력과 기회주의 세력에 대해서도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방산비리나 로비에도 거부감이 있다고 한다.

    그를 아는 군 관계자들은 “조직 내 정치에는 무지하지만 군 전투력 강화에는 그 이상인 사람이 없다”고 평가한다.

    다시 생각해 보자.
    김 후보는 국방장관 후보다.
    우리에게 필요한 국방장관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싸울 사람이지 ‘북한 김정은을 감화시킬 성직자’가 아니다.

    지금 일부 언론과 [깡통진보], 야당 등이 왜 김 후보에 반대하는지부터 먼저 생각하는 게 순서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