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은 참 나쁜 나라였구나"  
     祖國에 대한 자부심을 가르쳐야 할 韓國史 교과서가 증오를 가르치다니. 
     올해 일곱 살인 나는 한국사를 보고 나니 이런 후회를 하게 됐다. 차라리 안보았을 걸, 그랬다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더 좋았을 걸 ...
     
    장진성    
      
    나는 한국에 온 지 올해로 7년째다. 서울행 대한항공 비행기가 나를 잉태했고, 첫 걸음마를 짚었던 인천공항이 고향인 셈이다. 나의 아버지는 대한민국을 더 잘 알게 해 준 태극기였고, 내가 썼던 시집은 한국 국민으로서 다시 배운 국어였다.

     이렇게 7살이 되니 이젠 제법 한국사 교과서도 찾게 되었다. 아직 7살이어선지 한국사 교과서를 난생 처음 읽게 된 것만으로도 가슴이 설레였다. 북한에선 “김일성민족사”의 세뇌에 진정한 우리 민족사를 배울 수도, 알 수도 없었다. 그래서 처음 보는 우리 민족사는 모든 것이 다 새롭기만 했다.

     내가 현재 살고 있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은 과연 어떤 나라일까? 무엇보다 그 점이 가장 궁금했다. 지나간 먼 왕조시대가 아니라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고 있는 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현대사를 읽던 나의 7살 동심은 어두워지다 못해 스스로 이런 질문을 하게 됐다.

     대한민국은 애당초 건국부터가 잘못되었나요? 박정희대통령은 김정일처럼 사람을 많이 죽였나요? 부자들은 모두 도둑놈들인가요? 대한민국에서 가져야 할 꿈은 도대체 무엇인가요? 잘 사는 이 대한민국은 언제? 누가 주었나요?

     그렇다. 한국사라면 자부심의 교과서가 되어야 할텐데 반대로 증오의 교과서같았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초대 건국정부, 근대화혁명정부, 한강의 기적 주역들인 기업인들에 대해 무조건 증오만을 느끼도록 세뇌시키는 것 같았다. 그래서 자유민주주주의 국가 정체성과 그 뿌리가 실종된 이상한 한국사 같았다. 대한민국은 참 나쁜 나라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말이다.

      한국사 교과서엔 또한 아이들이 본받고 싶은 주인공들이 없었다. 전쟁국가인데도 전쟁영웅이 없었고, 경제강국인데도 경제영웅이 없었다. 민주화운동의 역사는 개인과 사건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한 반면 경제발전에 기여한 기업인들은 아예 이름조차 거론하지 않는 등 한국사가 아니라 운동권 교과서같았다.

    아니 한국사는 정부, 기업인을 상대로 시민들이 치열한 전쟁을 치른 민중봉기국가, 지금도 그 전쟁을 호소하는 계급투쟁사같았다. 민주화의 자부심과 선진화의 자부심이 다 같이 공존하는 한국사가 되면 마치 반역사가 되는 듯 말이다. 과연 민중데모라고 다 옳았는가? 고속도로를 강행한 군정통치가 무조건 나빴는가?

     교과서에 넘쳐야 할 존경과 사랑, 애국과 희생의 부분들은 모두 민주화의 몫으로만 치우쳐 있어 이 교과서를 읽는 내내 나의 7살 동심은 싸움꾼처럼 격렬해졌다. 멋진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라 투쟁하는 국민을 만드는 교과서가 된 셈이다. 이렇듯 교과서에 기술될 내용이나 문장구사는 학생들의 감정과 정서도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편찬자들은 잊은 듯 했다.

     북한 관련 내용을 볼 땐 나는 분했다. 7살이 아니라 거기서 산 30살의 기억과 아픔들이 북받쳤기 때문이다. 항일의 전통으로 시작되어 3대 세습까지 흔들리지 않는 정권. 다만 미국의 압살에 의해 최근 식량난같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는 이런 기술이 과연 진실인가? 북한의 현재 독재가 한국의 과거 독재에 완전히 묻혀버린 것이 과연 나의 국어로 된 교과서란 말인가?

     한국사 교과서를 덮으며 나는 이런 후회를 하게 됐다. 차라리 안 보았을 걸, 한국사를 몰랐다면 지금의 대한민국이 더 좋았을 걸...

     장진성 /탈북시인, 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