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장 분단 (29)

     내각제를 추진했던 의원들의 명분은「이승만 독재」를 방지하자는 것이었는데 아무데나「독재」를 붙이는 것이 그 시절의 유행이된 모양이다. 그런데 36년동안이나 노예 취급을 당했던 일제에 대해서는「독재」라고 부르는 것을 별로 듣지 못했다. 혹시 노예 의식에 은연중 익숙해진 때문인지 모르겠다.

    내가 대통령이 된지 아직 1년도 지나지 않았는데「독재자」로 부른다.
    특히 한민당 의원들이 그러는 것 같다.
    그렇다. 나는 미군정 당국과 투쟁했고 공산당을 소탕했으며 어설픈 좌우합작 노선을 비난한데다 현실적이지 못한 민주주의를 무시했다.

    친일파 청산보다 공산당 청소가 우선이라고 밀어붙였으며 이 난국에는 대통령제가 최선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이 독재냐? 대한민국은 이렇게 해서 건국되었다.
    내 고집, 내 불굴의 정신이 독재로 표현 되었기를 바란다. 독재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갓난 아기같은 민중들을 현혹시키지 말라.

    나는 감히 말한다. 이렇게 하지 않았다면 대한민국은 건국되지 못했다.
    신생 대한민국에는 강하고 사욕없는 지도자가 필요했다.
    내각제는 전혀 맞지 않았다. 더욱이 내각제를 밀어붙이는 한민당이 처음의 순수성을 떠나 점점 오염되고 있다. 그것이 나 뿐만이 아니라 일반 민중들도 알고 있으니 다행이다.
    1949년 2월10일에 한민당을 중심으로 한 민국당이 창당되어 내각제 개헌을 시도했지만 좌절되었다.

    좌죌된 후에 경무대에 들렸던 외무장관 임병직이 나에게 말했다.
    「한민당은 처음에 해외파 독립운동 세력과 결합해서 국내파 독립운동 세력을 물리쳤습니다.」

    그 국내파 독립운동 세력이란 공산당 세력을 말한다. 당연하다. 한민당은 자유민주주의 사상에 뿌리가 있다. 다시 임병직의 말이 이어졌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각하를 등에 업고 해외파 세력을 제압했습니다.」

    해외파 세력이란 임정 세력인가? 여기까지는 자연스런 제휴였고 당연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민당은 현실적이었으며 나와 생각이 같았던 것이다. 머리를 든 임병직의 얼굴에 쓴웃음이 떠올랐다.

    「세번째로는 이제 대통령이 되신 각하를 끌어내려 정권을 장악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허허.」
    나도 모르게 내가 웃음을 터뜨렸지만 임병직은 따라 웃지 않는다. 소파에 등을 붙인 내가 말했다.

    「한민당에 제갈공명이 있는가 보다.」
    「웃으실 일이 아닙니다.」
    정색한 임병직이 말했으므로 나는 외면했다.
    지난번 내가 김성수에게 넌지시 말한적도 있다. 그때는 첫 조각을 했던 때였는데 나는 한민당에게 12개 각료중 재무장관 김도연 한명만 배정했을 뿐이다.

    그것을 한민당은 내가 견제 한다고 생각 했겠지만 민심을 모르고 하는 말이다. 한민당임을 감추고 무소속으로 출마 해야만 했던 사실을 잊었단 말인가? 그렇지 않아도 내가 한민당과 결탁하여 반민특위 활동을 탄압한다고 소문이 번지는 중이다. 내가 다시 입을 열었다.
    「벤, 민심을 들어본 적 있는가?」

    임병직의 시선을 받은 내가 말을 이었다.
    「이제는 아무리 덮고 거짓말을 해도 곧 진실이 드러나는 세상이 되었네. 공산당이 남한에서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것도 언로가 틔어있기 때문이야.」

    이것은 내가 미국 언론과의 경험에서 얻은 교훈이다. 언론의 자유가 있는 사회에서는 불의와 부정, 거짓이 자랄수가 없다. 내가 한마디씩 말을 맺었다.

    「내가 정직한 이상 민심은 나에게 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