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안함 폭발의 원인이 북한의 도발로 확인된다 해도 정부의 대응은 흐지부지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이는 지난 해 임진강 慘事(참사)의 사례에서 유추된다.
     
     북한은 2009년 9월6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의 물을 예고 없이 방류했고,. 이로 인해 남한 임진강 水位(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경기도 연천군에서 우리 국민 6명이 익사했다.
     
     임진강 慘事는 북한의 故意的(고의적) 도발로 확인됐었다. 9월10일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9월10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북한의 황강댐 방류는 사고나 실수가 아니라 의도적인 행위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인명피해 가능성을 알고도 큰물을 방류했다는 뜻이었다.
     
     당시 현장관은 송영선 의원의 질의에 『그것은 저쪽에서 의도적으로 했다, 자기들이 의도를 가지고 한 것으로 저희들은 보고 있습니다』라고 답했고, 「북한이 희생자가 날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방류했다는 의미냐」는 질의에도 『그렇게 생각하면 된다』고 답했다.
     
     정부는 임진강 慘事에 대해 『책임 있는 당국의 충분한 설명과 공식사과』를 요구하고 나섰지만, 상황은 한 달 뒤인 10월14일 북한의 변명을 수용한 뒤 마무리됐다.
     
     북한은 2009년 10월14일 개성공단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진행된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회담에서 『임진강 사고로 남측에서 뜻하지 않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유가족에게도 심심한 조의를 표명한다...방류원인과 관련, 해당기관에서 더 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긴급히 방류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북한의 사과는 남한의 국민을 상대로 직접 공표된 것이 아니었고 당시 회담에 참가한 남한의 임진강 수해방지 회담 대표단을 통해 전해졌다.
     
     국민 6명을 故意(고의) 또는 未畢的 故意(미필적 고의)로 살해한 집단에 대한 응징은 북한이 사과했다는 정부의 발표 한 마디로 종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