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근일 한양대 대우교수 
    ▲ 류근일 한양대 대우교수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역사의 저 편으로 넘어갔다. 만감이 교차 한다. 1970년대 초 유신 직전 천도교 강당에서 고인의 연설을 들으며 환호하던 일, 현해탄에 수장될 뻔 했다가 생환한 고인에 대한 뉴스를 들으며 국가폭력에 분개하던 일, 민주화 직전 고인과 김영삼 전 대통령의 민추협 활동을 지켜보며 마음의 성원을 보내던 일,,,그리고 민주화 이후에 와서는 고인과 생각이 달라져 고인 노선을 칼럼으로 비판하던 일,,,

    고인이 후보 시절에 정동채(훗날 문광부 장관)라는 측근을 보내 필자에게 한 편이 되자고 제안한 것을 사양한 일(김영삼 후보도 필자를 불러다 "내하고 같이 일하지"한 것을 '언론 외길을 가겠다"며 사양했다. 그후 두 분과 나의 사이는 서먹해졌다) 고인이 대통령이던 때 필자의 소속사와 필자 개인도 괘씸죄에 걸려 국세청의 가혹한  세무조사를 받던 일- 이 모든 상반된 기억들이 동시에 떠오른다.

    그러나 이제 그 모든 일들은 역사로 돌아가고 ‘김대중 영가’는 역사 속의 인물로 옮겨 앉았다. 지금은 그래서 ‘정치인으로서의 DJ’보다는 ‘한 영혼으로서의 DJ’의 명복을 빌 뿐이다. 삶과 죽음은 우리를 정치의 세계 아닌 존재론의 차원으로 가라고 안내하기 때문이다. 태어남과 죽음의 엄숙한 진짜 현실 앞에서 정치라는 드라마는 빛을 잃는 게 당연하다.

    한국 정치도 3김 시대의 존재론적 마감을 기해서 당연히 다른 모습의 시대로 옮겨 갈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앞으로의 시대가 3김 시대보다 반드시 더 긍정적으로 달질 것 같지가 않아 보여서 낙관적으로만 관망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서울 고등법원 312호 법정에서 1974년 유신하의 한 대규모 시국사건의 재심을 받느라고 비지 땀을 흘리다가 閉廷 직후에야 고인의 운명 뉴스를 들었다. 30년 전 악몽을 되새기다가 30년 전 그 때 그 시절의 한 주인공의 부음을 듣는다는 것이 가슴에 착잡한 반응을 일으켰다. 아, 한 시대가 지나는구나...하는.

    주여 고인을 불상히 여기소서.
    주여 고인에게 영원한 휴식을 주소서
    주여, 우리를 불상히 여기소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