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 때문에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대북방송을 활성화시켜 이북 주민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전파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장점을 바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바른사회시민회의(공동대표 유세희 박효종)와 열린북한방송(대표 하태경)은 1일 서울 중구  4·19 혁명기념도서관에서 '대학생 민간인이 참여하는 대북방송 확대'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특히 이날 토론회는 대학생들이 나서  "북한 주민의 정보 갈증을 해소하는 데 직접 참여하겠다"고밝혀 그 의미가 더 컸다.

    이날 행사에서 동국대학교 방송국장 이인건군은 "21세기 한반도의 흐름을 올바르게 읽어내 주역으로서 역할과 임무를 다 하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군은 이어 "전국의 대학방송에 제안한다. 우리 목소리를 북한으로 전달하자. 우리의 생각과 모습을 담은 우리 방송을 북한으로 보내자"고 대학방송 참여를 독려했다.

    행사의 축사를 맡은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은 "정부는 김정일 눈치를 보며 북인권 문제는 외면한다"며 "그렇다면 민간차원에서 움직여 북한의 개혁 개방에 노력해야 한다. 대학방송이 만든 콘텐츠를 북한에 송출하는 것 등과 같이 북한인권 개선에 민간이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유세희 공동대표는 "정부 대북정책이 우리 체제의 장점을 알리고 북한체제 실상을 국민에 알리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돼왔다"며 "대학생들이 대북 방송에 동참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환영했다.

    라디오21의 박성문 프로듀서는 "진보진영에서 그동안 대북 방송에 소홀했다. 진보와 보수의 이념을 떠나 북한인권문제에는 귀를 귀울어야 한다"며 "전파는 어디든 넘을수 있다. 과거 철의 장막도 넘었고 죽의 장막도 넘었다. 김정일이 가장 두려워 하는 신무기가 바로 단파 라디오"라고 설명했다.

    박 프로듀서는 "한국언론재단이 2005년 12월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최근 2년 이내에 한국으로 들어온 탈북자 304명 중 외국 단파 라디오 방송을 들어본 사람은 13명(4.27%), 외국 중파 라디오 방송을 들은 사람은 34(11.2%)명이나 됐다"고 소개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열린북한방송은 민간 대북방송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다. 2005년 12월부터 외부 정보에 대한 북한 주민의 갈증을 해소하고 북한 내부에서 자체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국내 몇몇 방송국과 협력을 맺고 북한에 교육, 문화 컨텐츠 및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송출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는 동국대 성신여대 숭실대 중앙대 총신대 한양대 등 6개 대학 방송국이 대북 방송에 참여하였다. 
     
    ◆열린북한방송 하태경 대표 인터뷰

    김정일 욕할까 '두려워' 민간방송 주파수 제공불허

    ▲ 대북방송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는데.

    ==정부는 민간방송이 국내에서 대북 송출하는 것을 막고 있다. 주파수 제공을 규제하는 것이다


    ▲ 정부가 민간의 대북방송을 규제한다면 전파 송출은 어디서 하는가

    ==대외비다. 대만에서 하다 이번에 일본에서 도움을 줘서 옮겼다. 북한과 더 가까워 더 좋은 방송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 민간의 대북방송 참여 규제는 모든 민간방송에 대해 다 적용되는 것인가.

    ==그렇다. 신규 대북 민간방송은 미국이든 일본이든 대만이든 해외에서 주파수를 제공받는다. 단 이승만 정권때 허가를 받은 극동방송만이 국내에서 주파수를 제공받았다"

    ▲ 민간단체에서 '북한 정보 갈증 해소'라는 인도적 차원의 일을 하는데 정부가 나서서 막는것인가.

    ==민간단체가 김정일 정권을 비난할지도 모르는데 정부가 좋아할 리가 있겠는가

    ▲향후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

    ==라디오 주파수를 해외에서 찾는 것은 무척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든다. 정부는 민간 대북 방송에 주파수를 제공하여 더 많은 대한민국 국민이 북한 주민들에게 사랑과 희망의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열린북한방송은 우선 여론을 조성하는 데 힘쓰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