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 김정탁 언론학회장 발제인보길 뉴데일리 대표, 지정토론서 “한국사교과서 국정 전환” 긴급 제안
  • ▲ 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가 24일 오전 7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선진시민의식과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다.ⓒ 선진화포럼 홈페이지 화면 캡처
    ▲ 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가 24일 오전 7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선진시민의식과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다.ⓒ 선진화포럼 홈페이지 화면 캡처

    흔히 말하는 [언론의 자유]와
    [커뮤니케이션권]의 관계를 고민해 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선진화포럼>(이사장 이승윤, 회장 손병두, 특별위원장 이배용)은,
    <선진시민의식과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79차 월례토론회를 24일 오전 7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빌딩 국제회의실에서 연다.

    <방송통신위원회>가 후원하는 이번 토론회는,
    한국언론학회장을 맡고 있는 김정탁 성균관대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아,
    [언론의 자유]와 [커뮤니케이션권] 사이의 상관관계를 집중 조명한다.

    <한국선진화포럼>은
    언론의 사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토론 주제 설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발제를 맡은 김정탁 교수는,
    [언론의 자유]를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권리] 달성을 위한 수단적 개념으로
    바라본다.

    이런 관점에서
    김정탁 교수는
    [언론의 자유]는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그 존재의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즉 [언론의 자유]는
    표현할 권리(right to express),
    알권리(right to know),
    침묵할 권리(right to keep silence),
    알지 않을 권리(right not to know)로 구성되는
    [커뮤니케이션 권리]를 위해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김정탁 교수는
    흔히 [알 권리]와 혼용돼 쓰이는 [언론의 자유]가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권리] 보장보다는
    언론사나 언론인의 사적 자유를 지칭하는 것으로 변질되고 있다면서,
    이런 경우 [언론의 자유]에 일정한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권리가
    언론에 의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다면
    언론자유의 근거는 희박해진다.

       - 김정탁 교수


    김정탁 교수의 발제 뒤에는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을 좌장으로 한 지정토론이 이어진다.

    토론자로는
    박효종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초빙교수,
    이광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
    이병혜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
    <뉴데일리> 발행인 인보길 뉴데일리 대표이사가 나선다.

    박효종 교수는
    [언론의 자유]를 개인의 자유 보장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김정탁 교수의 주장을 [언론의 책임]이란 시각에서 재조명한다.

    [언론의 자유]가
    개인의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를 위한 수단이라는

    김교수의 주장을
    [언론의 책임]이라는 주제로 환치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언론의 자유와 권리가 최종적 가치가 아니라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위해 복무해야하는 수단적 가치라면,
    이것은 [권리의 담론] 보다는 [책임의 담론]으로 이해하는 편이
    보다 타당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 박효종 교수


    이광재 교수는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각국의 법 조항과 심도있게 비교 분석한 논문”
    이라며
    김정탁 교수의 이론을 높이 평가하면서,
    <선진시민의식과 언론의 역할>이라는 주제를 기준으로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 교수는
    [선진시민의식]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를 묻고 있다.
    이것이 설명되어야
    여기에 적합한 언론의 역할이 제시되고,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병혜 교수는
    발제 논문에 대해
    [선진시민의식]의 개념과,
    이를 고취하기 위해 언론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주장이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면서,
    [선진시민의식]에 대한 개념 정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인보길 <뉴데일리> 대표이사는
    현직 언론인으로서
    [시민의식 선진화]에 성공한 과거의 캠페인 사례들을 인용하면서,
    위기를 맞고 있는 한국 언론의 현 주소와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국가적-국민적 과제(National Agenda)와
    사회적 현안(Social Agenda)들이 널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언론은
    그날그날 쏟아지는 뉴스를 전달하는 데에도 힘겨워 한다.

       - 인보길 뉴데일리 대표


    이어 인보길 대표이사는
    [국가정체성 확립]만이 자유언론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인보길 대표이사는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안으로,
    독일의 예를 바탕으로 한 [공직자의 충성 의무화 법] 제정,
    [한국사교과서의 국정 전환] 등을 긴급제안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학생과의 대화 및 열린토론을 끝으로 마무리 될 예정이다.

    다음은 이날 토론회 식순이다.

    개회사
    손병두 한국선진화포럼 회장

    축사
    이경재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주제발표 및 토론

    좌장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발표
    김정탁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한국언론학회 회장

    지정토론
    박효종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초빙교수,
    이광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
    이병혜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
    인보길 뉴데일리 대표이사

    대학생과의 대화, 열린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