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간첩사건 수사중인 金昇圭 국정원장 불러, "그만두시지요" 
    趙甲濟   
     
     在美 블로거 안치용씨는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외교電文을 인용, 김승규 국정원장이 2006년 10월26일에 辭意(사의)를 표명한 데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요구가 있었고, 이는 당시 국정원이 수사하던 386 간첩단 사건과 관련이 있다는 匿名(익명)의 정보원의 주장을 보도하였다.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는 2006년 11월1일자 '새 국정원장에 김만복' 이라는 제목의 외교電文에서 김만복 새 국정원장 지명자의 프로필 등을 설명하면서 김승규 국정원장의 사퇴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김승규 사퇴를 둘러싼 의혹들' 이란 소제목 하에 노무현 대통령이 전쟁터에서 말을 갈아타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지만 2006년 10월25일 열린 청와대 내부회의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김승규 국정원장의 사퇴를 요구했었다고 보고했다.
     
     이 電文은 비판론자들이 "김만복 차장을 원장으로 승진시킨 것은 초기단계인 간첩사건 수사를 은폐하려는 증거이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소개하였다. 몇 사람들은 간첩사건 수사와 김승규 원장의 辭意가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기도 하였다.
     
     버시바우 대사의 電文 내용은 상당히 정확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이 10월25일 안보장관 회의 직후 김승규 원장을 따로 불러 다른 설명 없이 "그만두시지요"라고 말하였고, 金 원장도 "고맙습니다"고 말한 뒤 다음 날 사표를 썼다고 한다. 사실상 해임이지만 자진사표로 처리되었다. 정부내 386 운동권 출신이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있다는 보도가 나오던 시점이었다. 김 원장은 盧 당시 대통령으로부터는 사건 수사와 관련하여 압력을 받은 게 없다고 한다. 그는 청와대內 운동권 출신들이 대통령을 압박, 자신을 사퇴시킨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2011.9.6]
    위키리크스 美 외교전문
    김 前원장 "청와대 일부 참모들 북한 자극할까 우려"
    "수사직후 바로 사퇴했으니 자의는 아니지 않겠느냐"

    2006년 10월 386 운동권 출신의 간첩단 사건인 '일심회' 사건을 수사하다 도중에 사퇴한 김승규 당시 국정원장이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았다는 미국 외교 전문이 공개됐다. 청와대는 당시 자진 사퇴라고 발표했으나, 청와대와 여당 386 출신 인사들이 사퇴 압력을 넣은 것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됐었다.

    폭로 전문 웹사이트인 위키리크스가 최근 공개한 미국 외교 전문에 따르면, 버시바우 당시 주한 미국대사는 '김승규 사퇴를 둘러싼 의혹들'이란 글에서 "일부 비판론자(some critics)들은 노 대통령이 10월 25일(미국 현지시각) 청와대 내부회의에서 김 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고 말한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전직 국정원 관계자들과 김 전 원장의 지인들은 "외교 전문 내용은 모두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들에 따르면 버시바우 전 대사가 언급한 청와대 내부회의는 2006년 10월 26일 청와대에서 열렸던 안보관계장관회의였다.

    이 회의 직후 노 대통령이 김 원장에게 "따로 좀 보자"고 해서 두 사람이 만났고, 그 자리에서 노 대통령이 수사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은 채 "이제 그만 하시라고요"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에 김 원장은 "감사합니다"라고 답했고, "자진해서 사표를 내는 것으로 해달라"는 청와대 측의 요구를 받고 10월 27일 사표를 제출했다.

    이에 대해 김 전 원장은 "재임 중 일을 언급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수사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돼 국정원장이 바뀌었으니 사의 표명은 자의에 의한 것은 아니지 않겠느냐"며 사퇴 요구가 있었음을 부인하지 않았다. 김 전 원장은 2006년 10월 23일 국정원이 이 사건 관련자들을 체포하면서 본격 수사에 착수한 지 3일 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 김 전 원장은 사퇴 배경에 대해선 "노 대통령이 수사에 대해 압박을 가한 건 없었다"면서도 "다만 (나를 교체한 데는) 청와대 참모들의 조언이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간첩 수사를 우려하던 청와대 참모들의 조언을 듣고 노 대통령이 자신에게 사퇴 요구를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국정원의 임무상 나는 간첩 수사가 필요하고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나, 당시 청와대 일부 참모들은 간첩 수사를 하면 북한을 자극해 화해 무드를 깰 수 있다고 우려했다"고 말했다.

    일심회 사건 수사 과정에서 청와대를 비롯한 386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의 연루설이 제기되면서 국정원이 정치권의 386들로부터 압력을 받고 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당시 국정원 관계자는 "386 전체가 국정원을 공격하는 양상"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실제로 일부 여당 의원들은 "간첩 수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반발했다.

    그러나 김 전 원장은 사퇴 요구를 받은 직후인 10월 29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일심회 사건은 간첩단 사건이 맞다"면서 "(사건 양상이)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 일심회 사건

    2006년 국정원과 검찰이 북한의 지령에 따라 국가 기밀을 수집해 북한에 보고한 혐의 등으로 최기영 전 민노당 사무부총장과 이정훈 전 중앙위원 등 6명을 기소한 사건이다. 당시 공안 당국은 민노당 전·현직 간부와 386세대 운동권 출신이 연루된 간첩단 사건으로 규정했다. 대법원은 2007년 이들의 이적단체 구성(간첩단)에 대해선 무죄를 선고했으나 국가기밀 수집 혐의 등은 모두 유죄로 인정해 관련자들에게 대부분 징역형을 선고했다. 민노당은 이 사건으로 ‘종북주의 노선 포기’ 등을 놓고 논란을 벌이다 분당(分黨)의 길을 밟았다.
    (최원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