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가 식민지배를 하면서 체제 순응자를 만들어내고자 정신교화 수단으로 종교를 활용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류미나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등은 27일 동국대 다향관에서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주최로 열리는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종교계의 대응'이란 주제의 국제심포지엄에 앞서 이런 내용의 발표문을 공개했다.
    류 교수는 발표문에서 "조선총독부는 1911년 기존 성균관을 폐지하고 경학원을 설립해 양반과 유림을 회유했으며 1920년대 이후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선전도구로 활용했다"고 주장했다.
    류 교수는 "경학원의 강연은 유교적인 내용도 있었지만 과학문명의 찬양, 서양사 소개 등 총독부의 교육정책을 포함하고 있었다"며 "1920년대 들어 제2의 3.1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선인을 교화하고자 유교를 앞세운 경학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1930년대 이후 전시체제하에서 경학원도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헌법발포기념식' 등 기념행사를 열었으며 직원들의 신사참배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조선유도연합회'를 발족하면서부터는 '국민정신 총동원'을 요구하는 등 강력한 교화수단으로 활용됐다"고 덧붙였다.
    불교의 경우 일제가 사찰 운영의 중심이 되는 본사(本寺) 주지를 임명함으로써 이들의 친일화를 꾀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순석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은 '일제의 불교정책과 본사 주지의 권한 연구' 라는 요약문에서 "본사 주지들은 일본 천황이 임명하는 관직의 대우를 받았고 매년 신년하례식에 총독 관저로 초대받을 정도로 좋은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본사 주지는 임기가 3년이었지만 재임을 위해 뇌물을 주고자 사찰 재산을 유용하기도 했다"며 "일본 불교의 유입으로 대처승(帶妻僧·결혼한 승려)도 주지가 되면서 세속화 성향도 나타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진구 호남신학대 교수는 '일제하 신사참배 논쟁과 종교자유: 기독교의 경우' 요약문에서 "총독부는 신사참배는 종교가 아니라는 '신사비종교론'(神社非宗敎論)에 입각해 '모든 국민은 종교 여부에 관계없이 국민의 의무인 신사참배에 응해야 한다'는 의무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신사참배를 둘러싼 총독부와 개신교의 갈등은 미션스쿨의 폐교를 가져왔으며, 개신교 내부의 갈등은 해방 이후 교회의 분열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가와세 다카야 교토부립대 교수 등 일제강점하 조선의 종교를 연구해온 일본 학자 3명도 주제발표자로 참여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