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으로 北위협 대응…국민 생명·국가안보 지킬 것"
  • 정부는 6차 핵실험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해 ‘불용(不容)’ 입장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정은이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지도 했다는 北'조선중앙TV' 보도일부.ⓒ北선전매체 보도영상 화면캡쳐
    ▲ 정부는 6차 핵실험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해 ‘불용(不容)’ 입장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김정은이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지도 했다는 北'조선중앙TV' 보도일부.ⓒ北선전매체 보도영상 화면캡쳐

    정부가 6차 핵실험 등 북한의 도발은 용납할 수 없지만 ‘베를린 구상’을 바탕으로 한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노력은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3일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이 발표한 ‘정부 성명’을 통해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이어 과거보다 더 강력한 핵실험을 자행한 것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평화와 안전에 대한 매우 심대하고 엄중한 도전으로서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정부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무모하고 무책임한 핵실험을 감행한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면서 “북한은 계속된 도발의 결과가 더 깊은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압박뿐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는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어떠한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면서 “한 치의 흔들림 없이 국민의 생명과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정부는 “북한은 지금이라도 비핵화의 결단만이 안보와 경제발전을 보장하는 길임을 깨닫고,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제시한 대화의 메시지에 호응해야 한다”면서 “북한은 한반도에서의 공고한 평화 구축과 비핵화의 길로 나올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해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접을 뜻이 없음을 밝혔다.

    정부는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을 토대로, 한반도 평화 구축 및 남북관계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의 향후 대북 정책 방향은 4일 통일부 정례브리핑에서도 일부 나왔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향후 정부의 대북 인도적 지원과 관련해 “국제기구에 대한 기금 공여 문제에 정부 입장이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다만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따른 국제사회와의 공조, 국민 여론 등을 감안해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기점으로 대북제재에 치중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결코 용납하지 않고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안보를 굳건히 지켜나가겠다”고만 밝혔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의 6차 핵실험 실시 후 장관 주재로 ‘일일 상황점검회의’를 열기로 결정했다면서 “상황의 엄중함을 감안해 장관 주재 상황점검회의를 매일 오전 8시 30분에 개최하고 있다”면서 “통일부 주요본부 실·국장들 및 남북회담본부장, 교육원장이 회의에 참석한다”고 설명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통일부가) 남북관계 주무 부처이기 때문에 북한의 동향을 점검한다”면서 “남북관련단체, 국제동향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장을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와 통일부의 이 같은 발표는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실시하고, 대륙간 탄도미사일에 장착할 수소폭탄을 개발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정한 '레드라인'을 넘어선 뒤에 나온 것으로, 북한의 도발에도 북한과의 대화 의지는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밝힌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