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13년 모든 방송 디지털로 전환하고, 대북방송용 아날로그 장비는 유지만
  • 한국 정부가 운영하는 대북방송은 KBS의 한민족 방송이다. 과거에는 '사회교육방송'으로 불렸다. ⓒKBS 한민족 방송 홈페이지 캡쳐.
    ▲ 한국 정부가 운영하는 대북방송은 KBS의 한민족 방송이다. 과거에는 '사회교육방송'으로 불렸다. ⓒKBS 한민족 방송 홈페이지 캡쳐.


    美정부가 한국 정부에게 대북 지하방송을 하자는 제안을 해 논의 중이라고 日‘아사히 신문’이 지난 12일 보도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여러 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美정부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지 위해서는 대북 지하방송이 효과적이라고 생각, 한국 정부의 지하방송망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영상을 송출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日‘아시히 신문’은 “하지만 이 같은 대북선전 계획이 실제로 진행될 지는 불확실하다”면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북쪽의 이웃과 더 많은 대화를 하는 것으로 대북전략을 틀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김정은 체제 하의 북한에게 경제 제재는 그 영향이 약하고, 되려 군사적 도발로 돌아올 수 있다”며 “지난 7월 4일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이 최근의 사례”라고 지적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어쨌든 북한에 대한 군사적 행동은 반격에 의한 대규모 파괴를 일으킬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에 거의 생각할 수 없다”면서 “美정부는 대북 심리전을 통해 북한의 태도를 바꾸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美정부가 버락 오바마 前대통령 시절인 2016년 2월부터 대북제재를 보다 강화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미국의 소리’ 방송과 ‘자유아시아방송’의 예산을 늘려 대북방송시간을 1시간 30분 가량 늘렸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그러나 대북방송 송출에는 항상 문제가 있다”면서 “과거 USB와 DVD에 외부 정보나 방송을 대북전단과 함께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띄워 보내기도 했지만 성공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는 확실치 않았다”고 지적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한국은 2013년 나라 전체가 방송 시스템을 디지털로 전환했고, 대북용 아날로그 방송 송출시설은 유지만 하고 있다”면서 “美정부는 비무장 지대와 가까운 곳에 대북 지하방송 설비를 만들고자 하는데 한국이 가진 아날로그 방송 송출설비는 대북 지하방송에 특화돼 있다”고 설명, 한국 정부의 대북방송용 설비야말로 美정부가 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日‘아사히 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일 베를린 선언을 통해 ‘7월 27일 정전 협정일’부터 비무장 지대에서 상호 도발 행동을 중단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면서 “만약 한국이 북한 정권의 뜻을 좇는다면 美정부의 제안을 무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