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당국 간 대화, 2015년 12월 이후 軍통신선 등 연락채널 모두 끊긴 상태
  • 문재인 정부가 남북대화·교류를 두고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남북회담이 개최될 경우를 가장한 ‘모의회담’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2015년 11월 열린 '제1차 남북당국회담' 자료사진.ⓒ남북회담본부
    ▲ 문재인 정부가 남북대화·교류를 두고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남북회담이 개최될 경우를 가장한 ‘모의회담’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2015년 11월 열린 '제1차 남북당국회담' 자료사진.ⓒ남북회담본부

    문재인 정부가 남북대화·교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통일부가 남북 회담 재개를 가정해 ‘모의회담’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회담본부를 중심으로 정치·군사·사회·문화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여러 상황에 대비한 모의회담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해당 모의회담은 보통 1년에 몇 차례씩 개최하고 있다고 한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남북 회담이 이뤄지는 횟수가 적었기 때문에, 특히 새로 입부한 직원들에게 회담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연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앞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회담이 남북 간 의사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기 때문에 그러한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연습, 사전 훈련 삼아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내는 전략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는 동참하지만, 민간교류·남북대화를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소홀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정부가 조명균 신임 통일부 장관과 천해성 통일부 차관 등 2차 남북 정상회담의 주역들을 배치시킨 점 또한 이러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는 관측이 통일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때문에 모의회담 개최는 정례적이라는 통일부 설명에도, 문재인 정부의 의지 때문에 언론의 주목을 끌고 있다.

    한편 남북 회담은 2015년 12월 11일 ‘제1차 남북 당국회담’을 끝으로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한 북한이 일방적으로 서해 군 통신선, 판문점 연락채널을 끊은 뒤로는 남북 연락채널도 없는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