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은 불참, 국무총리 주관이라지만… 5·18-6·10과 비교된다는 시각도
  • 문재인 대통령이 5월 18일 5·18 37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뉴시스 사진DB
    ▲ 문재인 대통령이 5월 18일 5·18 37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뉴시스 사진DB

    문재인 대통령이 6·25전쟁 67주년 행사에 불참한 가운데 역대 대통령의 참석 여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6·25행사 당일에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사례는 2010년 이명박 전 대통령 외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국군 및 유엔군(UN) 참전유공자 위로연에 참석해 "평화를 위한 우리와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북한은 한반도의 안전을 위협하고 도발을 반복하고 있다. 이는 규탄받아 마땅한 일"이라고 비판하고는 "확고한 한미동맹과 압도적 국방력으로 안보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장진호 전투와 흥남철수 작전은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한국의 전후세대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역사가 됐다. 그 때 그 덕분에 흥남에서 피난 온 피난민의 아들이 지금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돼 이 자리에 여러분과 함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6.25 전쟁 67주년 당일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행사가 진행된 시각, 문 대통령의 다른 공개일정은 없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6.25 행사는 역대부터 국무총리가 주관해 왔다. 그래서 이전 대통령들도 참석하지 않았다. 관례대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도 국군 및 UN 참전유공자 위로연에 참석했을 뿐 행사에 직접 모습을 드러낸 적은 없었다. 6·25 63주년인 지난 2013년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우리의 NLL, 북방한계선도 수많은 젊은이가 피로 지키고 죽음으로 지킨 곳이란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임기동안 한 차례 행사에 참석한 바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난 2010년 60주년 행사에 참석해 "북한은 더 이상의 무모한 군사도발을 중지하고 7,000만 민족이 다 함께 사는 길로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군사적 대결이 아니라 평화적 통일"이라며 "북한은 천안함 도발사태에 관해 분명하고 솔직하게 잘못을 인정, 사과하고 국제사회 앞에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지난 2012년에는 행사를 이틀 앞둔 6월 23일 참전국인 콜롬비아를 방문해 6·25전쟁 참전기념탑 앞에 고개를 숙였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6·25 67주년 행사에 불참한 것에 대해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과 6·10 민주 항쟁 기념식에는 직접 참석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 것과는 대비된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도록 국가보훈처에 지시했으며, 행사에 참석해 직접 기념사를 읽고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연출했다. 또한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