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업, 향후 이란과 거래·협상 금지, 관련 전현직 임직원 '이란 비자' 발급 불가"
  • 이란 정부가 26일(현지시간) 15개 미국 기업에게 이란 기업과의 거래·협상 등을 금지하는 제재조치를 가했다. 사진은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美'CNN' 보도영상 캡쳐
    ▲ 이란 정부가 26일(현지시간) 15개 미국 기업에게 이란 기업과의 거래·협상 등을 금지하는 제재조치를 가했다. 사진은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美'CNN' 보도영상 캡쳐

    이란 정부가 15개 미국 기업에 대해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상대로 저지른 테러 행위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했다"며 제재 조치를 가한다고 밝혔다.

    英‘로이터’, 美‘ABC뉴스’ 등에 따르면 이란 외무부는 26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내놨다고 한다.

    이란 외무부는 성명에서 “제재 대상이 된 美기업들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벌이는 잔혹 행위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되거나, (이스라엘의) 테러활동, 정착촌 건립 등을 지원했다”고 주장했다.

    이란 외무부가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美기업에는 ‘레이시온’, ‘ITT’, ‘UTC’ 등 방위산업체와 부동산 업체 ‘리맥스 홀딩스(RE/MAX)’도 포함됐다고 한다.

    이 업체들은 향후 이란 기업과의 거래나 협상이 금지되며, 관련 전현직 임원들은 이란 비자를 발급받지 못한다고 한다.

    美‘ABC뉴스’에 따르면 제재 대상 기업 가운데 특수 차량 제조업체인 ‘오쉬코쉬’는 이스라엘 방산업체 ‘플라산’이 전술장갑차량 ‘플라산 샌드캣’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줬으며, 이스라엘 국방부는 ‘오쉬코쉬’로부터 전술 트럭 200여 대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美‘ABC뉴스’에 따르면 이란 외무부의 제재 명단에 이름을 올린 美기업들은 이번 조치와 관련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美언론들은 이란 외무부의 성명 중 ‘상호적’이라는 표현에 주목하며 “이는 이란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최근 美정부의 제재 조치 발표 이후에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4일 美국무부는 ‘이란·북한·시리아 대량살상무기(WMD) 확산방지법’을 위반한 30여 개인과 기업을 추가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당시 美국무부는 “이란의 미사일 기술 확산이 역내 긴장을 심각하게 악화시킨다”면서 “향후에도 이란의 미사일 발사·생산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미국 법에 따라 관련 기업·개인들을 제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美국무부의 발표가 있은 지 불과 이틀 만에 이란이 제재 조치를 한 점으로 미뤄보면, 일종의 ‘보복 조치’로 평가된다.

    한편 이란 외무부의 이번 제재 조치는 실효성 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짙다는 평가가 나온다.

    美‘ABC뉴스’는 “제재 명단에 포함된 기업들 중 실제 이란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기업은 없다”며 이같이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