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 美뉴욕 FRB의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계좌 해킹도 영향 끼친 듯
  • 2016년 2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에 대한 英더 타임스의 관련보도. 북한은 국가라기 보다는 범죄조직에 가까움을 다시 한 번 보여준 사건이었다. ⓒ英더 타임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 2016년 2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에 대한 英더 타임스의 관련보도. 북한은 국가라기 보다는 범죄조직에 가까움을 다시 한 번 보여준 사건이었다. ⓒ英더 타임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북한의 ‘무늬만 은행들’이 결국 국제금융거래망 ‘SWIFT’에서 쫓겨났다. 中공산당을 등에 업고 중국에서 몰래 SWIFT를 통해 외화를 유통했던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9일 “SWIFT 측으로부터 지난 8일 ‘벨기에 정부의 행정 조치에 따라 북한 은행에게는 더 이상 SWIFT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벨기에 정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으로부터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북한 은행들에게는 SWIFT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허가를 내주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전 세계 은행 및 금융기관 간 전산거래망인 SWIFT(국제 은행 간 결제협회)는 현재 벨기에 브뤼셀에 본부를 두고 있다.

    ‘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SWIFT 측은 성명을 통해 “대북제재에 관해 결정을 내릴 권한이 없으며, 모든 결정은 정부 기관 또는 관련 법률에 따른다”고 밝혔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 방송은 “VOA는 지난 6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1718위원회 전문가 패널 보고서에도 유엔 제재 대상인 북한 은행 3곳이 SWIFT를 통해 국제거래를 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면서 “이 전문가 패널 보고서가 SWIFT의 이번 조치에 영향을 준 것 같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은 또한 “2016년 9월 대니얼 러셀 美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북한이 SWIFT 통신망에 접근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EU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었다”면서 美정부가 영향력을 발휘했을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북한이 SWIFT를 활용해 문제를 일으킨 것은 ‘미국의 소리’ 방송이 보도한 부분보다 훨씬 광범위하다.

    2016년 9월 3일(현지시간) 英파이낸셜 타임스는 고트프리드 라이프브란트 SWIFT 최고경영자와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이 인터뷰에서 고트프리드 라이프브란트 SWIFT 최고경영자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책이 부실한 회원사에 대해서는 자격정지를 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SWIFT 최고경영자가 이처럼 강경한 말을 하게 된 이유는 2016년 2월 美뉴욕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있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계좌가 해킹을 당해 8,100만 달러가 털린 적이 있는데, 해커들이 SWIFT의 계좌 정보를 빼내갔기 때문이었다. 당시 해커 가운데는 북한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베트남, 에콰도르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SWIFT 정보를 빼내려는 해킹 시도가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줬다.

    2016년 9월 2일(현지시간)에는 美‘월스트리트 저널(WSJ)’이 美재무부가 북한을 ‘돈세탁 우려 대상국’으로 지정했다고 보도하면서 “북한을 SWIFT 회원국에서 빼버리라”는 사설을 실어 상당한 호응을 얻었다. 국제금융거래망을 해킹하는 ‘자칭 국가’는 용납할 수 없다는 뜻이었다.

    북한 은행들을 퇴출한 SWIFT는 1973년 북미와 유럽 금융기관 239개가 국제결제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벨기에 브뤼셀에 모여 만든 폐쇄형 전산망이다. 사람 손을 거치면 보름 이상 걸리는 국가 간 송금을 며칠 이내로 줄이고자 만든 게 바로 SWIFT 망이다. 현재는 200여개 국 1만 1,000여 개의 금융기관, 은행, 각국 중앙은행, 다국적 기업 등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2001년 9.11 테러 발생 이후 美정부의 요청에 따라 SWIFT는 테러관련 자금거래 데이터를 美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 등에 제공해 국제금융질서 확립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