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부당 행위들, 남한의 ‘반(反)공화국 모략소동’과 발맞춰 벌어지는 것"
  • 북한이 ‘김정남 암살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했다. 북한은 김정남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짜여진 대본”이라며 음모론을 주장했다. 사진은 김정남.ⓒ김정남 페이스북
    ▲ 북한이 ‘김정남 암살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했다. 북한은 김정남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짜여진 대본”이라며 음모론을 주장했다. 사진은 김정남.ⓒ김정남 페이스북

    북한이 ‘김정남 암살 사건’을 “이미 짜여진 대본에 따른 것”이라며 음모론을 주장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3일 ‘조선법률가위원회’ 대변인 담화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담화를 통해 김정남의 시신을 북한 당국에 인도하지 않고 부검을 강행한 것은 ‘인권유린’이며 ‘한국-말레이시아 정부 결탁’을 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지난 13일 말레이시아에서 외교여권 소지자인 우리 공화국 공민(김정남)이 비행기 탑승을 앞두고 갑자기 쇼크 상태에 빠져 병원으로 이송되던 도중 사망했다”면서 “초기에 말레이시아 외무성과 병원 측은 그가 ‘심장쇼크’로 사망했으며, 시신을 북한 대사관에 이관하여 화장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이에 따라 사망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말레이시아에 시신 인도를 요구했지만, 갑자기 말레이시아 비밀경찰이 개입해 시신 부검 문제가 언급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북한 대사관에서는 심장쇼크에 의한 사망으로 결론 난만큼 부검을 할 필요가 없으며, 사망자가 외교여권 소지자로서 빈 협약에 따라 치외법권 대상이므로 절대로 부검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명백히 밝혔다”면서, 그럼에도 말레이시아가 이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이것은 우리 공화국 자주권에 대한 노골적인 침해이고, 인권에 대한 난폭한 유린이며 인륜도덕에도 어긋나는 반인륜적 행위”라면서 ‘한국-말레이시아 정부의 결탁’이라는 억지주장을 펼쳤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말레이시아의 부당한 행위들이 남한 당국이 벌려놓은 ‘반(反)공화국 모략소동’과 발맞춰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이미 김정남 암살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는 ‘한국 언론의 보도 행태’와 ‘한국 정부의 태도’ 등이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남한 보수언론들은 시신부검 결과가 발표되기도 전에 ‘북한 정찰총국 여성요원 2명에 의한 독살’, ‘북한 소행이 틀림없다’는 등의 낭설을 지독스럽게 퍼트리기 시작했다”면서 “우리 공민이 사망한 다음날인 14일 청와대가 들썩거리고, 16일 장관급 회의가 열리는 등 남한 당국의 반응은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관련 없는 ‘사드(THAAD)’ 배치 문제까지 공공연하게 거론됐다”고 주장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이것은 명백히 남한 당국이 이번 사건을 이미 전부터 예견하고 있었으며, 그 대본까지 미리 짜놓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그런데 유독 말레이시아만이 이러한 사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실로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며 음모론을 이어갔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우리 공민이 말레이시아 땅에서 사망한 만큼, 그에 대한 가장 큰 책임은 말레이시아 정부에 있다”면서 김정남 사망 책임을 말레이시아에 전가하기도 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김정남 유가족들의) DNA 견본을 제출하기 전에는 시신을 넘겨줄 수 없다는 터무니 없는 구실을 붙이면서 아직까지 시신을 넘겨주지 않고 있다”면서 “이것은 말레이시아가 국제법과 인륜도덕은 안중에도 없이, 시신이관 문제를 정치화해 그 어떤 불순한 목적을 이뤄보려 한다는 것”이라고 억지를 부렸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말레이시아 경찰이 김정남 암살 여성 용의자들이 맨손에 독을 묻혀 살해했다는 발표에 대해서도 “손에 (독극물을) 바른 여성은 살고, 얼굴에 묻혀진 사람은 죽는 그런 독약이 어디에 있는가”라고 반문하며 공동수사를 재차 요구했다.

    ‘조선법률가위원회’는 “우리는 존엄 높은 자주의 강국, 핵강국의 위상을 훼손시키려는 그 어떤 시도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앞으로 말레이시아의 태도를 지켜볼 것”이라며 말레이시아 정부를 향한 협박도 잊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