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한 스킨십도 없이 선거 때만 정책들 언급, 진정성에 의구심 들어"
  • ▲ 이재명 성남시장. ⓒ이종현 기자
    ▲ 이재명 성남시장. ⓒ이종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두 잠룡 문재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16일 연일 각을 세우며 공방전을 이어갔다. 지나친 정무적 발언과 지지층 구애에 여론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의 경선 레이스가 총성을 울린 가운데, 유독 문 전 대표와 이 시장의 충돌이 부각된다는 게 정치권의 후문이다. 경선 과정에서 두 후보가 연일 서로를 향한 견제구를 날리는 데는 '지지층'에 이유가 있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두 후보의 지지층 뿌리는 '강경 좌파 세력'으로 평가된다. 때문에 두 후보 모두 경선을 통과하기 위해선 이들의 표심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선제 공격은 문재인 전 대표가 시작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자신의 외교자문그룹 '국민 아그레망' 발족식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졌다. '국민 아그레망'엔 23명의 전직 외교관이 포진돼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이사회 의장을 역임한 정의용 전 주제네바대표 대사가 단장을 맡았다. 6자회담을 이끈 이수혁 전 주독일 대사도 문 전 대표의 외교자문역이다.

    이로 인해 문 전 대표가 진보 정치인의 단점으로 꼽히는 '안보' 분야를 보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정의용 전 국제노동기구이사회 의장의 영입으로 노동계의 시선도 돌렸다는 평가다. 노동계 표심은 이재명 시장이 그동안 공들안 텃밭이다. 앞서 이 시장은 공무원노조와의 정책협약, 금융노조와의 성과연봉제 폐기 협약, 기본소득토론회 참석 행보 등을 선보였다. 그래서일까. 문 전 대표가 이 시장에 대한 도발 신호탄을 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비슷한 시각 같은 장소에서 이재명 시장의 역공이 이어졌다. 이 시장은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 "(집권 때) 가까운 사람들에 한 자리씩 주면 잘못하면 '순실(현 정부의 비선실세)'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선박 얘기를 하겠다. 배의 선장은 한 명이다. 또 큰 배의 선장을 뽑는다고 가정할 때, 큰 배에 있던 주방장과 갑판장보다는, 작은 중형배의 선장을 발탁해 쓰는 게 낫다"고 덧붙였다. 모두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한 발언이었다.

    문재인과 이재명, 두 민주당 경선 후보의 공방전은 이날 오후에도 계속됐다. 두 후보의 이른바 '오후 공방전'의 무대는 '정무 지대'에서 '사회적 약자 지대'로 자리를 달리 했다. 문 전 대표는 성소수자와, 이 시장은 청년과의 스킨십 행보를 진행했다. 같은 지지층을 놓고 두 대선후보가 충돌한 양상이다.

    문재인 전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정책공간 국민성장' 7차 포럼을 통해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며 성소수자 계층의 표심을 호소했다. 그러면서 여성을 위한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정착 ▲아빠휴직보너스제 실시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40%로 확대 ▲블라인드 채용제 도입 ▲여성 고용 우수기업 인센티브 등 정책 구상을 선보였다.

    한 시간 뒤 이재명 시장은 서울 마포구 인근 카페에서 '공정페이 간담회'를 통해 '열정페이(열정을 빌미로 한 저임금 노동)'에 신음하는 청년들을 만났다. 문재인 전 대표의 집토끼 잡기 행보에 대한 견제구를 끊임없이 던졌다는 평가다.

    이재명 시장은 "저는 기성세대의 한 사람"이라면서 "지금의 현실을 만든 것에 대해 (청년들에게) 죄송하게 생각하고 반성한다"며 청년들을 위로했다. 이어 이 시장은 청년을 위한 이른바 '공정페이 4대정책 ▲청년의무고용비율 확대 ▲법정근로시간 준수 ▲최저임금 1만원 인상 ▲노동경찰(고용노동부 소관 근로감독관) 1만명 확보 등을 주장했다. 

    한편 문재인과 이재명, 두 후보의 부담스러운 지지층 구애가 지지 세력을 더욱 고립시킨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여성단체의 한 관계자는 이날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두 후보 모두 좋은 정책을 의제로 제시하는 부분은 긍정적"이라면서 "(다만) 꾸준한 스킨십도 없이 선거 시기에만 이같은 정책들을 언급해 진정성에 의구심도 든다"고 밝혔다. 두 후보가 이전부터 충분한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지 않은 채, 경선이 시작되자 '복지-노동' 공략을 쏟아냈다는 지적이다. 두 후보가 일각으로부터 '포퓰리즘' 비난을 살 수밖에 없는 배경인 셈이다.

     

  •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이종현 기자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이종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