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11일 최근 지역 일부에서 제기된 ‘대구공항 통합이전의 갑작스러운 결정’, ‘K-2만 이전하고 대구공항은 존치’, ‘K-2 부지 일부를 국토교통부(대구공항)로 매각’ 등 각종 설(說)을 잠재우고 대구・경북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K-2 이전은 지역의 오랜 숙원으로서 2007년 대구 동・북구 주민이 주축이 돼 ‘K-2 이전 주민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지속적인 이전논의가 있었지만, 여러차례 좌절되다 2013년 ‘기부 대 양여’ 방식을 근거로 하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K-2 이전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됐다.

    특히 2006년부터 K-2 이전과 병행하여 본격적으로 추진된 영남권 신공항 유치가 지난해 6월 김해공항 확장 및 대구공항 존치 결정으로 무산됐고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지역의 여론에 따라 ’같은 해 7월11일 대구공항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결정했었다.

    ▣‘K-2만 이전, 대구공항 존치’는 불가능

    대구시는 현 위치에 대구공항이 존치하면서 제대로 된 대구・경북 관문공항으로 확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즉 K-2는 2013년 제정된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만 이전이 가능하며 대구공항이 존치하면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따른 K-2 이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K-2(195만평)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이전하면 K-2 소유의 활주로 등 주요 공항시설을 빌려 쓰는 대구공항(5만평)만으로는 공항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K-2 부지일부 개발에 의한 K-2 이전, 대구공항 존치도 곤란

    또 K-2 부지일부를 국토교통부에 매각할 경우 ‘기부 대 양여’에 의한 개발 수익이 부족해 민간의 사업참여 기피 등으로 이전을 할 수 없는 구조라고 시는 강조했다.

    K-2가 전체부지 200만평 중 95만평 정도를 대구공항(국토부)에 매각하고 남는 100만평으로 ‘기부 대 양여’ 이전을  하자는 것은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국내 주요공항별 부지면적(민항)>-대구시 제공

    대구공항

    김해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

    청주공항

    무안공항

    5만평

    112만평

    255만평

    108만평

    58만평

    81만평

    ▣대구공항도 현재 위치에서는 확장 불가능

    시는 또 대구공항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나 현 위치에서의 확장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2016년말 대구공항 이용객은 253만 명으로 개항 이래 최대규모이나, 공항시설이 협소해 수년 내 성장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대구시 관계자는 “K-2・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정략적으로 이용하여 서로 갈등하고 분열하기 보다는 함께 화합하며 대구・경북이 상생하는 방향으로 집단지성을 발휘할 때”라면서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한데 모으고 지혜와 역량을 결집하여 대구・경북의 자랑스러운 미래를 향해 다함께 손잡고 힘차게 앞으로 나아갈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