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트라 美국방부 정보담당 차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보복 조치? 해당 국가 제재가 효과적"
  • 미국 고위 정보 당국자들이 북한을 주요 사이버 위협 중 하나로 꼽으면서 사이버 공격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보복할 것임을 천명했다. 사진은 제임스 클래퍼 美국가정보국(DNI) 국장.ⓒ美'CBS 뉴스' 보도영상 캡쳐
    ▲ 미국 고위 정보 당국자들이 북한을 주요 사이버 위협 중 하나로 꼽으면서 사이버 공격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보복할 것임을 천명했다. 사진은 제임스 클래퍼 美국가정보국(DNI) 국장.ⓒ美'CBS 뉴스' 보도영상 캡쳐

    미국 고위 정보 당국자들이 북한을 주요 사이버 위협 중 하나로 꼽으면서 사이버 공격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보복할 것임을 천명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美상원 군사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미국에 대한 외국의 사이버 위협'을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

    이날 청문회에는 제임스 클래퍼 美국가정보국(DNI) 국장과 마이클 로저스 美국가안보국(NSA) 국장 겸 사이버 사령관, 마르셀 레트라 美국방부 정보담당 차관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들은 공동으로 제출한 서면 증언에서 "북한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파괴적인 사이버 공격을 할 능력이 있고, 이는 2014년 미국의 소니 영화사 해킹 사건에서 입증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 등 북한의 한국 해킹 사례도 언급했다.

    로저스 NSA 국장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 수준은 이란과 동등한 '중간 정도'로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과 이란이 사이버 능력을 '매우 공격적'으로 행사할 의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클래퍼 DNI 국장은 북한과 이란이 사이버 공격을 지속하고, 빈도 수를 높여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클래퍼 DNI 국장은 "북한과 이란에게 사이버 공격이란 미국에 혼란을 줄 수 있으면서 돈이 많이 안 드는 공격"이라며 "북한과 이란은 사이버 능력이 진전될 때 마다 능력의 한계를 계속해서 시험하는 공격을 보여왔다"고 밝혔다.

    美고위 정보 당국자들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위협을 이 같이 진단하면서, 대응 수준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특히 클래퍼 DNI 국장은 "미국은 국력의 모든 도구를 활용해 보복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지금까지 사례를 봤을 때 사이버 공격에 대해 사이버가 아닌 다른 영역에서 미국이 보복을 했을 때, 적국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바꿨다"고 강조했다.

    클래퍼 DNI 국장은 그 근거로 '북한에 대해 사이버 공격을 하기 위해서는 제3국의 기반시설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에 봉착했고, 이에 따라 북한에 대해 사이버 공격이 아닌 다른 보복을 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이 담긴 2014년 소니 영화사 해킹 당시, 백악관 회의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레트라 美국방부 정보담당 차관도 클래퍼 DNI 국장의 의견에 동의했다. 레트라 차관은 "사이버 공격이 있을 때마다 사건 별로 그때그때 대응이 달라진다"면서 "보복 조치는 전통적으로 미국이 해당 국가에 제재를 가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사이버 전력은 암호 해독, 기밀 입수, 웹 사이트 파괴, 바이러스 제작과 확산 등을 맡고 있다. 정확한 규모와 조직은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 정보 당국은 북한 정찰총국 산하 '121국'에서 사이버 테러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