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금리 0.25~0.5%에서 0.5~0.75%로…‘적자 경제국’들 고민 커질 듯
  • 美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4일(현지시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美블룸버그 통신 관련보도 화면캡쳐
    ▲ 美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4일(현지시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美블룸버그 통신 관련보도 화면캡쳐


    美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 금리를 0.25% 인상했다고 블룸버그 등 美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세계 주요 외신들도 美FRB의 기준 금리 인상 소식을 전하며, 자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내느라 바쁜 모습을 보이고 있다.

    美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FRB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의 0.25~0.5%에서 0.5~0.75%로 인상한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美FRB의 기준금리 0.25% 인상에 대해 재닛 옐런 의장은 기자들과 만나 “나와 동료들이 이번과 같이 가정과 기업들에게 영향을 끼칠, 중대한 결정을 하게 된 것은 미국 경제가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면서 “우리는 고용시장이 좋아지는 동시에 경기 회복세가 탄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을 내놨다고 한다.

    美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재닛 옐런 의장의 말처럼 미국의 실업률은 2014년 2월 6.7%였던 것이 2016년 12월에는 4.6%로 크게 감소했다고 한다.

    美블룸버그 통신은 FRB의 이번 기준금리 0.25% 인상이 최종적으로는 2%대 인플레이션 시대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평가했다.

    美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정부는 감세와 정부 재정지출 구조조정, 규제 철폐 등을 통해 미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을 3~4%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내놓고 있는데, FRB의 이번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여러 부문에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美FRB가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전 세계는 자국 경제에 미칠 영향과 대응책을 연구하느라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美기준금리가 올라가면, 美연방정부 채권의 이자율이 올라가면서, ‘양적팽창’을 통해 전 세계에 풀렸던 달러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는 흐름을 보이게 될 것이고, 일부국가에서는 자국 통화에 변동이 생기면서 기존의 경제정책에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美정부의 양적 팽창에 맞서 양적 팽창과 재정적자로 국내 경기를 지탱했던 EU, 일본, 중국 등은 자국 금융기관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와 금융기관은 협조 관계에 있지만, 이익 앞에서는 정반대의 움직임을 보일 수도 있어서다. 

    대형 투자은행들 또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운용자산 규모가 수백억 달러 이상인 국제투자은행들과 연기금, 사모펀드 등은 위험관리를 위해 달러 표시 채권과 美정부 채권 등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는데, 그 가격의 추이에 따라 포트폴리오 구성을 다시 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를 잘못 구성할 경우 몇 십 억 달러의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투자처를 찾지 못하던 개인 투자자들 또한 기존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바꿔 미국 증시나 채권 등에 투자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각국은 외환보유고 관리를 위한 환율 정책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동안 재정적자로 국내경기를 지탱해오던 국가들은 자국 내 채무자들이 타격을 입는 것에도 대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美FRB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각국 중앙은행 또는 정부가 국내 기준금리를 올리고, 여기에 따라 대출 금리도 오르는 패턴을 보인다. 따라서 채무가 많은 사람은 갚아야 할 이자액이 증가하면서, 가계 재정에 상당한 압박을 받게 된다.

    특히 한국은 부동산 시장이 대출을 통해 지탱되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대출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에 많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2006년 부동산 대출 거품이 정점을 찍은 뒤부터 ‘대출로 대출을 막아 온 악순환’을 끊을 것인지, 아니면 2017년 이후에도 ‘폭탄 돌리기’를 계속할 것인지 결단을 내려야 할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