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 붕괴 시 난민 30만…"지린성에 수용시설 확보 시작했다는 정보"
  • 중국이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북한난민 수용시설 확보가 시작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진은 중국군 북한 붕괴 대응책 관련 YTN보도 일부.ⓒYTN 중계영상 캡쳐
    ▲ 중국이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북한난민 수용시설 확보가 시작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진은 중국군 북한 붕괴 대응책 관련 YTN보도 일부.ⓒYTN 중계영상 캡쳐

    대북제재에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중국이 북한 김정은 정권의 붕괴 등 급변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물밑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연합뉴스'는 지난 4일자 日'요미우리신문'을 인용, "중국 정부가 북한 난민 유입에 대비해 지린(吉林) 성에서 식량 저장고나 수용시설 확보가 시작됐다는 정보가 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日'요미우리신문'은 북·중 국경 지역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고 한다.

    日'요미우리신문'은 한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4월쯤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 열린 현지 지방정부 회의에서 한 자치주 간부가 "(북한에서 급변사태가 일어나면) 적어도 30만 명의 난민이 온다"면서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다소 구체적인 소식통의 전언도 있었다.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琿春)에서는 중국 정부 담당자로 보이는 여러 명이 현지에서 외자 기업을 방문했다고 한다.

    이들은 "(북한으로부터의) 난민에게 공급할 목적"이라며 식량 10만t을 비축할 수 있는 이 기업의 대형 창고 임차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日'요미우리신문'은 "실제로 식량 반입이 시작됐는지는 불확실하지만, 연변 자치주에서는 올해 초부터 난민 유입에 대한 준비가 구체화 된 것 같다"고 분석하면서 "북·중 국경을 흐르는 두만강과 압록강 근처,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 산간 지역에서 수용시설 건설이 시작됐다는 정보도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에는 2015년 초 지중해를 통해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대규모 난민이 유입돼 홍역을 치른 바 있는 유럽의 사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한 북한 전문가는 日'요미우리신문'에 "대규모 난민이 유입될 경우 국제사회가 주시하는 상황이어서 총으로 쫓아버리는 것은 불가능해진다"며 "인도적으로 보호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日'요미우리신문'은 중국 내부의 목소리를 전한 뒤 "중국은 거듭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에 국자사회의 대북제재가 강화되는 '악순환'이 이어지면 김정은 정권을 지탱할 수 없게 돼, 한반도 정세가 제어불능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9월 북한 5차 핵실험에 따라, 지난 11월 3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새 대북제재 결의 2321호가 채택되고, 한국, 미국의 독자적 대북제재가 발표되는 등 국제사회의 북핵불용 의지는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북제재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에는 찬성하면서도 '대화를 통한 해결'을 연일 강조하는 등 북한을 옥죄는 데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