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라이언록’ 때문에 회령 국경경비대 병력 다수 사망…주민 감시 역할도 맡아
  • 北선전매체는 지난 9월 함경북도 수해복구 투입에 대한 보도를 한 바 있다. 여기에는 北인민군이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YTN 관련보도 화면캡쳐
    ▲ 北선전매체는 지난 9월 함경북도 수해복구 투입에 대한 보도를 한 바 있다. 여기에는 北인민군이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YTN 관련보도 화면캡쳐


    최근 북한 곳곳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였던 인민군들이 함경북도 수해 지역에 대거 투입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6일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김정은 집단은 태풍 ‘라이언록’으로 수해를 입은 함경북도 회령 지역에 인민군 10만여 명을 투입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과 접촉한 소식통은 “수해가 일어난지 사나흘 만에 13만 명의 군대가 회령 지역에 들어왔다”면서 “주민들은 인민군이 수해복구 작업도 하지만, 주민들이 중국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는 국경 경비대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회령시에는 국경경비대 2개 대대가 있었는데, 각 대대 내무반 일부가 홍수로 완전히 잠겨 시신도 건지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현지 투입된 北인민군 가운데 일부가 국경경비대 시설 보강을 하고 있고, 일부는 국경경비대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것이다.

    이 소식통은 “회령시 인구가 14만 명인데 13만 명의 외부 인원이 들어온 것은 유례가 없다”면서 “이들은 인민무력성 명령에 따라, 평양 여명거리 공사에 동원되었던 군부대들”이라고 설명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함경북도가 고향인 한 탈북자를 인용, “최근 회령에는 군인들이 너무 많이 들어와 일반인들은 도강(탈북)할 엄두도 내지 못한다”면서 “실제로 (수해 때문에) 강의 지형도 모두 바뀌어 탈북하기 어렵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이 탈북자는 “(수해로) 가족이 실종된 사람들은 억울해도 하소연도 못하고 불만도 말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지금 같은 시기에 잘못 했다가는 정치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조심하고 있다”면서, 北인민군이 ‘수해 복구’를 명목으로 주둔한 지역의 민심이 흉흉하다고 설명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노동당 중앙위가 지난 9월 10일 호소문을 발표하고, 200일 전투의 중점 사업인 ‘여명거리 건설’에 동원되었던 인민군 부대를 북부 수해복구 전투에 돌린다고 밝힌 바 있지만, 군단 병력이 회령시에 파견됐다는 소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북한은 수해복구에 동원된 부대들 사이에 사회주의 경쟁을 시키면서 건설 성과를 독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자유아시아방송’의 이 같은 보도는 사실 특별한 것은 아니다. 북한은 건설 중장비와 기자재의 부족 때문에 수해 복구 등을 할 때는 대규모 인력을 동원한다.

    하지만 13만 명에 달하는 인민군 병력을 함경북도 수해 지역 가운데 하나의 市에 보냈다는 점은 태풍 ‘라이언록’에 의한 수해 피해가 그만큼 심각하며, 수해 복구에 동원된 인민군 병력이 수십만 명에 달할 수도 있다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