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교사 “과목 유지 위한 기초 투자 거의 없어”
  • 중학교 환경 과목 교과서. ⓒ한국환경교사모임 제공
    ▲ 중학교 환경 과목 교과서. ⓒ한국환경교사모임 제공

    한국은 최근 미세먼지, 해수 온도 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 등의 문제를 겪으며 '환경 문제'에 부쩍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도 '환경 개선'을 위한 준비에 여념이 없다. OECD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학력 테스트 격인 피사(PISA)테스트에, 지난해부터 '생태적 역량' 평가 시험이 신설됐을 정도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환경에 대한 교육의 장이 점차 줄어들며 '멸종' 위기까지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신보라 의원은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동시에 제출받아 분석한 '환경 선택 중고교와 환경교사의 현황'을 공개했다. 

    분석 결과 전국에 환경과목을 선택한 학교는 2010년 902개교, 교사는 201명 수준이었으나 2016년 현재 반 토막이 나있었다. 올해 전국 환경 과목 선택 중·고교는 496개교, 교사는 70명 수준 인 것으로 드러났다. 

    규모가 가장 큰 서울의 경우 환경 과목을 선택한 학교가 중·고교 모두 합쳐 61개에 그쳤다. 그 중 36개 학교는 환경교육을 고3과목에 편성하는 등 사실상 환경 교육이 전무했다.

    신 의원은 "자유학기제, 진로교과, 소프트웨어교과가 필수로 도입되는 2018년에는 환경 선택 학교와 교사는 더 줄어들 것이다. 환경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은 날로 높아지는데, 올바른 환경인식을 함양할 환경교과는 점차 입지가 좁아지는 것으로 환경부는 교육부 설득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환경 과목'은 기술, 컴퓨터, 제2외국어와 같은 교양 선택 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새로운 과목들이 추가되면 설 자리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신경준 교사는 "임용고사를 통한 70명의 환경교사도 이제는 28명만 남았다. 예비 환경교사의 학교 진입은 현재 불가능한 상황이다. 인천과 울산의 중학교에서는 이미 선택학교가 한 곳도 없는 사실상 절멸 상태로 환경 선택학교에 환경교사를 우선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교사는 "9만명의 교원 중 28명에 불과한 환경교사들은 공문과 교육청을 통해 과목 변경과 연수를 지속적으로 종용받고 있는 상태다.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소속 학교에 스스로 설명해 살아남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는 자유학기제, 진로, 소프트웨어가 생기면서 그것마저도 힘들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핀란드는 환경교육의 가치를 교육의 우선으로 삼기 시작했다. 미국은 '과학과 환경'군, 호주는 '지구환경과학'군을 개설했고, 핀란드는 '환경과 과학'군을 중학교 3년간 17단위로 개설하고 있다. 지구 공동의 집, 환경 위기의 시대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생존을 위한 환경교육이 우리나라에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 환경 교사는 "환경 교육은 공공재 성격이 강하다. 그러다 보니 일정한 보호정책이 필요한데, 과목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투자가 거의 없다. 교재 연구도 해야 하는데 (교사 수가 적어) 현장 공유가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이 교사는 "환경교사는 교육청 업무를 포함해 지역구나 대외행사 활동요청 등을 많이 받게 된다. 기본적인 인원 수가 적은데 업무 부담이 너무 커 압박을 느낀다"고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학생 수에 비해 교원을 줄여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환경교육 교사를 늘리기란 어렵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