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측, 국비 지원 중단 이유 “10년 전 일이라 잘 몰라”
  • 1997년 과학과 기술 잡지는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출범 소식을 전했다. ⓒ1997년 과학과 기술 잡지 캡쳐
    ▲ 1997년 과학과 기술 잡지는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출범 소식을 전했다. ⓒ1997년 과학과 기술 잡지 캡쳐

    역대 최대 규모의 '경주 지진'을 계기로, 지진 발생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지진 연구를 수행해 온 국립대 연구기관이 재정난을 이유로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한 것으로 드러나, 정부의 안이한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학계와 서울대 등에 따르면, 서울대는 1997년부터 지진을 연구해온 ‘지진공학연구센터'에 대해 폐쇄 방침을 통보했다. 이 연구센터는 참여정부 시절 국가지원금이 끊긴 직후부터, 재정난을 겪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매일경제>는 22일 “서울대 등에 따르면 한때 교수 30여 명과 박사급 연구원 100여 명이 열정적으로 연구활동을 했던 이 대학 지진공학연구센터는 현재 모든 연구활동을 중단하고, 단 1명의 교수만이 소장으로 이름만 올려놓은 '유령 센터'로 전락했다”고 보도했다.   

    김재관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소장은,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이후 지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상황에서 센터가 설립됐다. 설립된 센터는 처음 9년간 정부지원을 받으면서 활발히 활동했지만, 지원이 끝난 후에는 재정 자립에 실패해 지금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지진 관련 연구소는 산업계의 관심이 적은 분야다 보니, 공공영역에서 지원하지 않으면 유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1997년 발간된 월간잡지 ‘과학과 기술’을 보면, 서울대 지진공학연구센터 출범 당시 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연구센터로 지정받아 본격적인 연구활동을 시작하게 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지진공학연구센터’가 학계에서도 인정한 연구센터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당시 지진공학연구센터 관계자는, 재난 대비를 위해선 ‘예측’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한국 특성에 맞는 지진 예측 연구와 이에 따른 한국형 내진 설계 기법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지진공학연구센터의 바람과 다르게 노무현 대통령 때 정부 지원이 일절 끊기면서 재정난에 시달려야 했다. 그 결과 2009년부터는 연구원을 비롯한 행적직원들이 센터를 하나 둘 떠나는 상황이 벌어졌다.

    서울대 측은 “사업기간이 2005년에 끝이 났다. 2005년 종료 이후에도 후속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지금은 공대에 있는 건설환경종합연구소 내부 센터로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측은 2006년 이후 국가 지원이 끊긴 이유에 대해서는 “10년 전 쯤 일이라 잘 모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