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장관 “국제사회, 포괄적 핵실험 발효 늦은 탓에 북한 핵실험 대가 치러”
  • ▲ 지난 21일(현지시간) 美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CTBT)' 외교장관 회의'의 모습.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21일(현지시간) 美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CTBT)' 외교장관 회의'의 모습.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한 5차 핵실험의 후폭풍이 유엔 총회에까지 다다르고 있다.

    ‘연합뉴스’는 “제71차 유엔 총회를 앞두고 美뉴욕 유엔본부에 모인 40여 개국 외무장관들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22일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에 북한 5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데 참여한 나라들은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이하 CTBT)’에 서명한 국가들로, 이들 나라 외무장관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했다고 한다.

    북한 핵실험 규탄 성명을 내놓은 각국 외무장관들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CTBT 우호국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해 “북한은 21세기 들어 핵실험을 실시한 유일한 국가”라면서 과거 북한의 핵실험 사례를 언급하고, “유엔의 거듭된 경고에도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 데 대해 규탄한다”는 뜻을 유엔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40여 개국 외무장관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북한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관련 프로그램을 폐기하고, 관련 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2005년 9월의 6자 회담 공동선언문의 의무를 완전히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고 한다.

    ‘CTBT 우호국 외교장관 회의’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네델란드 등 10여 개국 외무장관을 포함, 120여 개국 대표가 참석했다고 한다. 각국 외무장관은 북한의 핵개발 억제를 위해서라도 CTBT가 조속히 발효돼야 한다고 역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CTBT 우호국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윤병세 외교장관은 “북한의 브레이크 없는 ‘핵 질주’가 국제사회가 직면한 가장 심각하고 급박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하고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북한의 핵야욕을 꺾지 않으면 국제사회는 후회하게 될 것”이라며, 북한 핵실험 규탄 성명에 동의했다.

    윤병세 외교장관 또한 CTBT의 발효가 늦어져 국제사회가 북한 핵실험과 같은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5차 핵실험과 핵무기 프로그램 중단을 촉구한 나라들이 서명한 CTBT는 1996년 65개 국가가 서명한 조약으로, 모든 핵실험을 중단하고, 이를 위반하는 행동을 막기 위해 국제적 감시 체제를 운영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CTBT 기구 사무국은 오스트리아 빈에 있으며, 지금까지 183개국이 서명하고 166개국이 자국 의회에서 비준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TBT가 제대로 발효되려면 원자로를 보유한 44개국이 모두 서명·비준해야 하는데 8개국이 아직 동의하지 않아 발효가 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는 미국, 중국, 이스라엘, 인도과 같이 이미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 나라들도 있지만, 대부분이 이란, 파키스탄, 북한 등과 같이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는 나라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