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측근 김상곤, 정부 비판 몰두하더니... 인민일보 보도에 '화들짝'
  • ▲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인 김상곤 후보가 16일 '대통령 탄핵'을 놓고 갈지(之)자 행보를 보이며 논란을 겪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인 김상곤 후보가 16일 '대통령 탄핵'을 놓고 갈지(之)자 행보를 보이며 논란을 겪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8·27 전당대회를 열흘 정도 앞두고 당권주자인 김상곤 후보가 '대통령 탄핵' 문제를 놓고 갈지(之)자 행보를 보이며 논란이 일고 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통령 탄핵' 카드까지 꺼내들며 강경하게 반대했던 김상곤 후보가 16일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탄핵과 관련된 답변이었다"며 저자세를 취한 것이다. 

    김상곤 후보는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실제로 탄핵이 구체화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부가) 계속 불통과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강화하면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이런 문제들이 지속된다면 국민들은 더욱 살기가 힘들고, 억압적인 상황에서 저항이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당초 김상곤 후보는 "탄핵문제는 단순히 사드 문제뿐만이 아니다"라면 정부에 각을 세워왔다.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전략적 모호성에 대해서도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지난 8일 사드 문제를 놓고 더민주 초선 의원 6명의 방중(訪中)을 앞두고 청와대는 이들을 만류했다. 중국에 이용당할 수 있고 국내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였다. 

    이에 김상곤 후보는 오히려 "일방적으로 이용당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의원들의 노력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하고 비방하는 것은 대통령다운 모습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반면 방중단에 대해선 "의원들 중 여럿은 중국 관계 전문가들"이라며 "위기 상황을 깊이 이해하고 있는 우리 당 의원의 중국 방문과 의원 외교는 환영할 일"이라고 지지했다. 

    이처럼 김상곤 후보는 차기 당대표 후보이자 야당 대표로서 선명성을 강조, 정부·여당을 향해 각을 세워왔다. 

    그랬던 그가 돌연 입장을 바꿀 수밖에 없었던 것은 막상 중국 언론이 자신의 발언을 악용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국 공산당의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사드가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기사 제목을 통해 김상곤 후보의 발언을 담아 보도했다. 

    이에 김상곤 후보는 "그 부분은 중국이 거두절미하고 편의적으로 인용한 것"이라며 "왜곡적인 성격이 있다"고 급히 해명에 나섰다. 

    아울러 사드 관련 당내 의원들의 방중 결과가 기대와는 달리 중국의 조롱과 '북중 혈맹 회귀' 거짓 발언 및 말바꾸기 논란 등에 휩싸이면서 '대통령 탄핵'의 원동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종인 대표도 방중단에 대해 "여행하고 돌아오는 분들"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 ▲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인 김상곤 후보가 16일 '대통령 탄핵'을 놓고 갈지(之)자 행보를 보이며 논란을 겪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한편 김상곤 후보는 최근 더민주 강령 전문에서 '노동자'가 빠진 것에 대해서는 "당의 정체성을 바꾸겠다는 의미"라며 강령 개정을 재고(再考)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이 문제는 제가 가장 먼저 제기해 쟁점이 됐다"면서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성립하지 않고, 이 전제가 지켜지지 않는 한 사회 정의도, 경제민주화도, 민주주의도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당권주자인 추미애·이종걸 후보도 문제를 제기하면서 논란이 커지는 추세다. 

    이에 더민주는 오는 17일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전당대회준비위원회의 강령 개정안에 대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지난 13일 더민주 강령 정책 분과위원회는 개정안을 통해 '경제발전을 위한 국민의 헌신과 노력, 노동자와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한 노력을 존중한다'는 현행 문구를 '경제발전을 위한 국민의 헌신과 노력을 존중하며, 시민의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로 바꾼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