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북한 도발 현실에 국제 사회 '대북 제재' 동참 호소
  • 존 케리 美 국무장관과 윤병세 외교장관. ⓒ외교부 제공
    ▲ 존 케리 美 국무장관과 윤병세 외교장관. ⓒ외교부 제공

    한미 당국은 25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계기 외교장관회의에서 양국의 북핵 공조를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병세 외교 장관과 존 케리(John Kerry) 美국무장관은 이날 사드(THAAD) 배치가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데 공감하며 동맹국의 견실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미 외교장관은 북한이 지난 1월 4차 핵실험 이후 미사일 발사, 잠수함 탄도미사일(SLBM) 사출 실험 등 무력 도발을 지속하는 것을 우려하며, 북한의 비핵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외교부에 따르면 윤 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 도발로 인한 안보 위협을 강조, 북한의 유일한 출로는 핵을 포기하는 것임을 깨달을 때까지 국제 사회가 노력해 줄 것을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케리 장관은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어떤 경우라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하며 한미 북핵 공조를 확실히 했다. 

    케리 장관은 “국제사회에 대한 북한의 위협이 결국 스스로에게 대한 위협으로 돌아오고 있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며 북한을 향해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미 외교장관은 北비핵화를 위한 일차적 노력으로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과 국제사회 동참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중·러 등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을 결정했다.

    특히 한미 양국은 사드 배치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자위적 방어조치'라고 평가하는 한편, 한‧미 연합방위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케리 장관은 윤 장관과의 회담 이후 중국 왕이 외교부장을 만나 북한 문제를 중요 현안의 하나로 언급했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는 또 미국과 중국이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채택 과정에서 매우 긴밀하게 협력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