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내년초에나 전대 치를 듯… 올해 내내 원내 일각 '비상 국면' 불가피
  • 여야 3당이 전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돌입하게 됨에 따라, 청와대와 입법부도 소통의 격을 맞추기 힘들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청와대에서 열렸던 박근혜 대통령과 3당 원내지도부의 회동 모습. ⓒ청와대 사진공동취재단
    ▲ 여야 3당이 전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돌입하게 됨에 따라, 청와대와 입법부도 소통의 격을 맞추기 힘들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청와대에서 열렸던 박근혜 대통령과 3당 원내지도부의 회동 모습. ⓒ청와대 사진공동취재단

    원내 여야 3당이 일제히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돌입하게 됨에 따라 '협치(協治)'도 갈 길을 잃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3당 원내지도부와의 회동에서 앞으로 여야 당대표들과의 만남을 정례화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만남의 대상이 사라져 한동안 이 약속이 지켜지기는 난망해졌다는 지적이다.

    원내 주요 3당 중 유일하게 '정상'적인 지도체제로 운영되고 있던 국민의당 지도부가 29일 붕괴됐다. 이른바 '박선숙~김수민 리베이트 의혹'의 후폭풍으로 정치적 책임을 지고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는 물러났다. 박지원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이 돼서 당을 수습하게 됐다.

    이로써 여야 3당이 전부 '비상' 상황으로 운영되는 국면을 맞게 됐다. 새누리당은 4·13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김무성 전 대표최고위원이 물러난 이후 두 달 이상 비대위 체제로 운영 중이고, 더불어민주당은 올해 1월 문재인 전 대표가 책임회피를 위해 사퇴한 뒤로 5개월 이상 김종인 의원이 '비대위 대표'라는 기이한 명칭으로 당을 이끌고 있다.

    국민의당도 '박지원 비대위 체제'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를 치러 제대로 된 당 지도부를 선출하려면 시·도당, 지역위원회, 대의원, 권리당원 등 당의 기간 조직을 손봐야 하는데 아직도 미흡한 점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조기 전당대회 소집 요구도 있지만, 당초 예정했던대로 내년 초 이전에 전당대회를 치르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이처럼 여야 3당이 모두 불안정한 '비대위 체제'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4·13 총선 민의를 받드는 '협치'에도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지도부는 지난달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회동에서 앞으로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와의 만남을 정례화하기로 합의했었다. 당시 당대표에 앞서 원내대표들이 먼저 대통령을 만난 이유는 원내 주요 정당에 정통성 있는 당대표가 없기 때문이기도 했다.

    국민의당만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되고 있을 뿐, 새누리당은 비상대책위원장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더불어민주당도 김종인 대표의 조기 진퇴 여부를 놓고 논란에 휩싸여 있었다. 이 때문에 청와대 관계자는 "9월 이후에나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 간의 회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런데 주요 여야 정당의 체제가 정비되기는 커녕 유일하게 정상 체제이던 국민의당의 지도체제마저 무너져버렸다. 새누리당이 오는 8월 9일, 더불어민주당이 같은 달 27일에 전당대회를 열고 새로운 당대표를 선출할 예정이지만, 그 때에도 국민의당만은 '비대위 체제'가 지속된다.

    이와 관련, 정치권 관계자는 "협치를 위해서는 책임 있는 리더십으로 당을 이끄는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야 하는데, 여야 3당이 모두 비대위 체제로 돌입해 비정상이 정상이 되는 상황이 돼 버렸다"며 "'책임 있는 사람'과 국정을 함께 조율하고 정무적인 연락을 하기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청와대 또한 난감한 상황일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