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선테크 통해 주요 물자 우회공급…2015년 KOMID 관계자 파키스탄 방문”
  • '동아일보'는 24일 인도 언론을 인용 "파키스탄과 북한 간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커넥션이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실 관련 내용은 2003년 당시 세이모어 허쉬 美뉴요커 편집장의 보도 이후 계속 제기돼 왔던 것이다. 사진은 2011년 7월 8일(현지시간) 美CNN이 파키스탄 정보부 ISI와 북한 간의 핵무기 개발 커넥션을 폭로한 보도 화면이다. ⓒ美CNN 관련보도 화면캡쳐
    ▲ '동아일보'는 24일 인도 언론을 인용 "파키스탄과 북한 간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커넥션이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실 관련 내용은 2003년 당시 세이모어 허쉬 美뉴요커 편집장의 보도 이후 계속 제기돼 왔던 것이다. 사진은 2011년 7월 8일(현지시간) 美CNN이 파키스탄 정보부 ISI와 북한 간의 핵무기 개발 커넥션을 폭로한 보도 화면이다. ⓒ美CNN 관련보도 화면캡쳐

    2015년 9월 28일 국내 언론들은 美뉴욕발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소식을 일제히 보도했다. 유엔 본부에서 만난 파키스탄 총리와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인도 언론의 보도를 보면, 파키스탄은 한국보다는 북한과 보다 긴밀한 ‘전략적 소통’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는 24일 인도 ANI 통신 등을 인용, “파키스탄이 중국 업체를 이용해 북한에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품목을 제공해 왔다”고 보도했다.

    인도 ANI 통신 등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파키스탄 에너지 위원회(PAEC)가 中베이징에 있는 ‘선테크 테크놀로지’라는 업체를 통해 우회수출 방식으로 북한에 ‘모넬’ ‘인코넬’과 같은 내열 합금과 우라늄, 플루토늄, 내열합금을 녹이는 진공유도 용해로 등을 제공한 혐의가 포착됐다”고 보도했다는 것이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인도 언론들은 “이란 주재 북한 대사관 소속 외교관 김영철, 장영선 등이 2012년부터 2015년 사이 파키스탄을 8차례 방문했으며, 이들은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 소속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270호에 제재 대상으로 등재된 인물”이라는 사실도 폭로했다고 한다. 

    인도 언론들은 “파키스탄 정부는 2015년 11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위원회로부터 북한과의 협력 여부를 추궁받은 뒤 이를 부인하다 김영철, 장영선이 이슬라마바드, 카라치에서 찍힌 사진을 건네받은 뒤에야 접촉을 시인했다”면서 “하지만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은 ‘테러와의 전쟁’ 때문에 이 문제를 적극 공론화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유엔 대북제재 위원회 전문가 패널 중 한 명인 ‘스테파니 클라인 알브란트’ 또한 지난 23일(현지시간) 자신의 SNS에 해당 보도를 올려 관련 내용이 사실임을 시사했다고 한다.

    ‘동아일보’는 “이들의 방문이 2015년까지 있었던 점으로 미뤄볼 때 북한과 파키스탄 간의 협력은 최근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관련국의 묵인이 지속되고 있었다면, 4차 북핵 실험이 이뤄진 올해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동아일보’는 “중국도 자국 기업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연루된 혐의를 알고도 파키스탄을 ‘핵 공급국 그룹(NSG)’ 회원국으로 집어넣기 위해 이를 엎은 것이 된다”면서 “중국이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파키스탄을 NSG에 넣는 게 필요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동아일보’는 “한국 정부는 이 보도의 사실여부에 대해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면서 “서울에서 NSG 총회가 열리는 도중에 의장국인 한국이 구체적인 의사를 밝히는 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동아일보’가 인용 보도한 ANI 등 인도 언론들의 보도 내용은 사실 2003년 5월 미국의 주도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 구상(PSI)’가 시작된 뒤 서방 정보기관들을 통해 확인된 내용이다.

    하지만 中공산당과 파키스탄, 한국 정부의 ‘사실 부인’에 의해 해당 사실을 공식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미국 또한 ‘테러와의 전쟁’을 벌이면서, 오사마 빈 라덴과 알 카에다, 탈레반 소탕을 위해서는 파키스탄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북한과의 무기개발 공조를 불문에 붙였다.

    이때 파키스탄과 북한 간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커넥션에 강한 우려를 나타낸 나라는 이스라엘뿐이었다. 이스라엘의 ‘적극 개입’이 시작되자 파키스탄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이어오던 북한과의 무기개발 커넥션 규모를 줄이는 한편 핵개발을 주도했던 압둘 카디르 칸 박사의 존재를 공개, 대대적인 선전을 하면서 보호하기 시작했다.

    파키스탄과 북한 간의 '무기개발 커넥션'은 오랜 기간 지속된, 쉽게 끊어지지 않을 관계임에도 현 박근혜 정부 관계자들은 그 중요성과 밀착도를 무시하고, 파키스탄을 '정상적인 국가'처럼 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